1. Elastic Block Store
1.1. 볼륨
- 가용영역 a public 서브넷에 인스턴스 두개 생성 & 접속할 bastion 인스턴스 생성

- bastion에서 접속하기 위한 키 이동


- bastion을 이용하여 원격 접속

- 볼륨 디스크 확인

- 볼륨생성



*** 윈도우에서 해당 기능을 통해 볼륨 암호화 가능

- 생성한 볼륨을 인스턴스에 연결


- 첫 번째 리눅스에서 확인

- fdisk로 파티션 생성


- blkid로 기존 파일 시스템 확익 => xfs

- 파일 시스템 생성 및 디렉토리에 마운트 및 확인




- 파일 생성 후 확인

- 마운트 해제

- 분리

- 두 번째 서버에 볼륨 연결

- 두 번째 서버 확인 후 마운트하여 위에서 생성한 파일 확인 ( 파티션작업은 첫번째 서버에서 진행했기 때문에 재진행하
지 않아도 마운트가 가능하다.


2. Amazon S3
-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
- 버킷 생성



- 버킷 생성 확인

- 버킷에 파일 업로드



- 생성 확인 및 url로 진입


- public 엑세스 차단 비활성

- 버킷에 객체 소유권 편집 -> acl 활성화

- 활성화하고 나면 acl 편집가능

- acl 편집

- url로 접속하면 이미지 확인 가능

- 첫번째 서버에 httpd 설치 후 이미지 파일을 버킷에서 가져와 서비스 실행



2.1. S3 : 정적 컨텐츠 관리
- index.html 파일 생성

- 버킷에 업로드

- 권한 편집

- url 입력 시 사이트 출력 확인

- 버킷 -> 정적 웹사이트 호스팅



'클라우드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9. AWS ( 오토스케일링 ) (0) | 2022.06.23 |
---|---|
8. AWS ( RDS ) (0) | 2022.06.22 |
6. AWS ( 실습 ) (0) | 2022.06.21 |
5. AWS ( CLI, 2Tire VPC, 로드 벨런싱) (0) | 2022.06.20 |
4. AWS ( SSH 인증 ) (0) | 2022.06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