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커&쿠버네티스 (14) 썸네일형 리스트형 3. 쿠버네티스(3) Replicaset, Deployment 0. POD - 최소 단위 1. Replicaset - Pod을 여러 개 제어 - rep.yml 파일로 replicaset 생성 - Replicaset 확인 - namespace 1team에 생성 - POD 개수 추가 - pod을 지워도 정해놓은 개수를 맞추어 pod을 다시 생성한다 - 반대로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. 1.1. Replicaset 실습 - wordpress + mysql8.0 연결된 pod 해당 pod을 replicaset으로 구성 pod은 2개로 시작 하나의 pod 삭제 후 생성 확인 pod 개수를 4개로 늘리고 배치된 node 확인 pod 개수를 원래대로 2개로, 배치된 node 확인 - yml 파일 작성 - 적용 및 생성 확인 - 서비스 노출 - 서비스 확인 - pod 개수 증가 - .. 2. 쿠버네티스 (2) 네임스페이스, POD, Deployment 1. 네임 스페이스 - 네임스페이스를 생성하지 않고 컨테이너를 생성하면 default에 배치 - 네임 스페이스 생성 - 해당 네임스페이스에 nginx 배치 - 모든 네임스페이스 확인 - 컨테이너를 지울 땐 pod 제거하고 네임스페이스 지우는 방법 or 네임스페이스를 지우며 같이 지우는 방법 - 네임스페이스에 있는 pod 제거 - 네임스페이스를 제거 - 네임스페이스 config 파일 생성 - 파일 적용 - 네임스페이스 제거 - 여러 개의 네임스페이스 적용 - yml 파일을 이용하여 nginx pod 생성. yml파일 생성시 tab키 호환x - yaml파일로 deployment 생성 - 네임스페이스와 httpd pod yaml로 생성 - describe 명령어로 자세한 정보 확인 2.POD - POD 안에 .. 1. 쿠버네티스 ( k8s ) 설치 준비 0. 참고 사이트 ( 쿠버네티스 공홈 ) - https://kubernetes.io/ko/docs/tutorials/kubernetes-basics/create-cluster/cluster-interactive/ 1. 쿠버네티스 설치 준비 - 시스템 구성 2. 쿠버네티스 마스터 노드 공통 설치 - 원격지 시간 맞추기 - 방화벽 해제 - swap 기능 해제 - 오버레이 가상 스위치 추가 , 활성화 - iptables 및 NAT 활성화 - 호스트 파일에 각 서버 호스트이름 등록 - 쿠버네티스 레포지토리 등록 - kubeadm, kubelet, kubectl Package 설치 - 서비스 시작 - 다음 명령어를 통해 컨테이너 런타임 설치 2.1. master 노드만 설치 - 칼리코 설치 : 노드끼리 통신할 수.. 11. 도커 ( Dockerfile) 1. Dockefile - 리눅스 기본 편집기로 작업할 수 있는 텍스트 형태의 파일 - 각 실행옵션을 찾아 입력 // systemctl status 로 확인 - COMMAND COMMAND Description COMMAND Description FROM 베이스 이미지 지정 ADD 파일추가(외부파일 불러오기) MAINTAINER 작성자 지정 COPY 파일복사 : Local 디렉토리 CMD 데몬실행 ENTRYPOINT 데몬실행 : CMD보다 우선 LABEL 라벨 설정 USER 사용자 설정 EXPOSE 포트 내보내기 WORKDIR 작업 디렉토리 지정 ENV 환경변수 설정 ONBUILD Build 후 실행명령 - 파일의 이름은 dockerfile로 지정한다. ** 해당 명령어를 사용하면 권한이 변경되어 내부에.. 10. 도커 ( Wordpress ) 1. wordpress - wordpress 이미지 다운 - 설치되어 있는 DB에 정보 입력 **** 새롭게 DB 컨테이너를 생성할 경우 run 구문에서 db설정을 해준다. - wordpress 컨테이너 실행 - test 9. 도커 (link, 데이터베이스) 1. link - 같은 호스트에 있고 실행되어 있는 컨테이너끼리 이름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한다. - link(링크) 명령어 사용 - 일반적으로 링크 없이 생성하게 되면 ip를 사용해야한다. - 링크명령어를 통해 c1과 c2의 이름으로 핑 시도 - 컨테이너 이름 변경 시 호스트명으로 접근이 불가 --> IP 변경 시에는 가능 - /etc/hosts를 확인하면 호스트명이 들어간 것을 확인 - 별칭으로도 생성이 가능하다. - c1 만들고 c2에서 c1 링크 생성 , 그 다음 c1을 멈춘 후 c3를 생성하여 ip를 변경한 뒤 핑을 하는 스크립트 생성 2. 데이터베이스 - 실행할 때 -e옵션을 통해 환경 변수 설정을 통해 pw 입력이 필요. - 클라이언트 접속 방법 - mysql 이미지 pull - mysql 컨.. 8. 도커 (6) 이미지 1. 이미지 만들기 1.1. commit ( 컨테이너를 이미지파일로 생성 ) - 컨테이너의 설정과 파일 모두 포함하여 이미지로 생성 - httpd 컨테이너 생성 - index.html 생성 후 컨테이너 내부로 복사 - 이미지로 생성 - 생성한 이미지로 컨테이너 생성 후 확인 1.1.1 이미지 아카이브 : save, load - 도커의 이미지를 아카이브 파일로 생성 - save 명령어로 아카이브 파일을 생성 - load 명령어로 아카이브 파일을 이미지로 가져옴 - alpine과 centos를 image.tar 파일로 생성 - 해당 명령어로 tar로 만든 이미지파일 도커에서 다시 이미지 파일생성 2. 컨테이너 아카이브 : export, import (컨테이너를 이미지로 생성) - 파일은 존재하나 설정은 끌어.. 7. 도커 (5) 스크립트를 이용한 설치 및 삭제 1. 스크립트 이용 - 스크립트 파일을 이용해서 도커 설치 및 작업 진행 - docker.sh 스크립파일 생성 - 실행 후 결과 확인 - 파일을 비교하는 명령어 : diff 명령어를 사용하여 확인 2. 스크립트로 설치한 내용을 지우는 스크립트 생성 - dockerdel.sh 파일 생성 - 실행 후 확인 이전 1 2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