0. POD
- 최소 단위
1. Replicaset
- Pod을 여러 개 제어
- rep.yml 파일로 replicaset 생성
- Replicaset 확인
- namespace 1team에 생성
- POD 개수 추가
- pod을 지워도 정해놓은 개수를 맞추어 pod을 다시 생성한다
- 반대로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.
1.1. Replicaset 실습
- wordpress + mysql8.0 연결된 pod
해당 pod을 replicaset으로 구성
pod은 2개로 시작
하나의 pod 삭제 후 생성 확인
pod 개수를 4개로 늘리고 배치된 node 확인
pod 개수를 원래대로 2개로, 배치된 node 확인
- yml 파일 작성
- 적용 및 생성 확인
- 서비스 노출
- 서비스 확인
- pod 개수 증가
- 2개로 감소
2. Deployment
- Replicaset을 제어
- yaml 파일 작성
** vim 변경
** .bashrc 명령어를 통해 명령어 약칭 선택
**
- yml로 디플로이먼트 생성 및 확인
* 무중단 배포
1) 롤링 업데이트
- loadbalancer에서 서비스하고 있던 pod의 일부를 loadbalancer에서 제외한 다음 업데이트 수행 후 다시 load의 참여
- 점진적 업데이트
2) 블루/그린 업데이트
- 블루 : 구버전, 그린: 신버전
- loadbalancer 참여하는 pod 절반을 먼저 업데이트 ( load에서 제외 )
3) 카나리 업데이트
- 시험용으로 일부만 업데이트 후 정상 동작하면 점진적 업데이트 수행
- 페이지 확인
'도커&쿠버네티스 > 쿠버네티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. 쿠버네티스 (2) 네임스페이스, POD, Deployment (0) | 2022.07.26 |
---|---|
1. 쿠버네티스 ( k8s ) 설치 준비 (0) | 2022.07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