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3. RTO/RPO 및 백업 복구 설정
13.1. 재해 복구 계획
- RPO : 복구 시점 목표 : 복구 시점을 통해 얼마나 자주 백업을 해야하는지 측정
-> 짧아야 데이터 손실이 적다. ( 백업을 자주 한다 )
- RTO : 복구 시간 목표 : 복구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측정
- 리전이 다운될 수도 있기 때문에 재해 복구 사이트 동안 적합한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.
- 재해복구 프로세스 : 백업 및 복원 -> 파일럿 라이트 -> 완전 동작 저용량 스탠바이 -> 다중 사이트 액티브 액티브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> 더 낮은 RTO RPO
* 백업 및 복원 : 급하지 않다면 백업 및 복원을 진행
aws storage gateway : 온프레미스 데이터를 AWS로 백업
* 파일럿 라이트 : 평소에는 비활성화해놓고 재해 발생 시 활성화하여 사용
-> aws 에 복제하여 사용
* 완전 동작 저용량 스탠바이 : 서바가 스탠바이로 저용량으로 구동되어 있으며 오토스케일링으로 성능을 높인다.

* 다중 사이트 액티브 액티브 : 서버를 모
- 스토리지 중복 : S3 자체 기능으로 교차 리전 복제 기능 존재 => 기능 사용 시 glacier 이용 시 비용 절감
: ebs 역시 리전 및 계정 간 백업 가능
: data sync 를 통해 빠르게 데이터 동기화 가능
- 네트워킹 재해 복구 옵션 : 로드밸런싱 및 복제, 백업 필요
- 데이터베이스 토한 백업 및 중복되어야한다. rds => 읽기 전용 보제본을 다중 AZ와 결합하여 복원력이 뛰어난 재해복구
전략 수립
- 자동화 서비스를 통해 신속하게 복구가 가능
'클라우드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Architecting on AWS (5일) (0) | 2022.07.08 |
|---|---|
| Architecting on AWS (4일) (0) | 2022.07.07 |
| Architecting on AWS (3일) (0) | 2022.07.06 |
| Architecting on AWS (2일) (0) | 2022.07.05 |
| Architecting on AWS (1일) (0) | 2022.07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