0. 목차
1. local repository
2. 생성 방법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1. local repository
- 네트워크 환경이 구성되어 있지 않은 곳에서는 yum명령어 사용 불가.
- 이런 경우 내부망 내에 Local Repostory를 구성해서 설치 가능.
2. 생성 방법
- 패키지 파일을 미리 준비하기 위해서 CentOS7 Everything iso 파일을 준비.
- 다운로드 받은 iso파일을 cd-rom에 장착. * 커넥트와 전원이 켜 있어야함.
- lsblk 명령어로 확인하면 sd0에 iso파일이 입력된 것을 보인다.
- cd 디렉토리를 생성하여 sr0 ( cdrom )을 마운트 시킨다.
- 미리 생성해놓은 local 디렉토리에 cd롬에 존재하는 패키지 파일을 복사. 명령어 뒤에 & 표시를 이용하여 백그라운 드 작업으로 진행한다.
- 새로 만든 local repository를 사용하기 위해 기존 repositroy 정보 파일을 /backup 디렉토리에 이동.
- yum 명령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미리 준비해놓은 createrepo 패키지를 rpm명령어를 이용하여 설치.
createrepo를 통해 local repository를 생성할 수 있다.
- 지역저장소를 사용하기 위해서 정보파일을 생성.
- createrepo를 통해 로컬 저장소 생성
- yum repolist 명령어를 통해 확인
- yum 명령어로 dhcp 설치를 통해 테스트
- local repository 제거 -> 저장소 디렉토리 제거 -> /etc/yum.repos.d 디렉토리에 생성한 정보파일 제거
- yum 명령어를 다시 테스트하게 되면 local repository가 제거되어 설치가 되지 않는다.
'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6. 아파치 웹서버 스크립트 생성 (0) | 2022.03.03 |
---|---|
15. 아파치 웹서버 설치 (0) | 2022.03.02 |
13. 패키지 관리 (0) | 2022.02.28 |
12. quota (0) | 2022.02.28 |
11. 윈도우 File Server 권한 설정 (0) | 2022.02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