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리눅스

18. DHCP

0. 목차

  1. DHCP

  2. DHCP 구성

   2.1. 윈도우서버 DHCP

   2.2. 리눅스 DHCP

  3. 예약기능

   3.0. 맥주소 변경

   3.1. 리눅스 예약기능

   3.2. 윈도우 예약기능

 

 

 

1. DHCP ( Dynamic Host Configureration Protocol ) 

  - IP Adress를 할당하는 기능

  - IP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능

  - DHCP 4단계

    1) Discover

      : 클라이언트가 DHCP 탐색 ( Broadcast 방식, 1:M )

    2) Offer

      : DHCP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IP제안 ( Broadcast 방식, 1:M )

    3) Request

      : 클라이언트가 DHCP 서버에게 IP 요청 ( Broadcast 방식, 1:M )

    4) Ack

      : DHCP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IP 할당 ( Broadcast 방식, 1:M )

      : 임대시간의 1/2시간부터 7/8시간까지  Request 재진행 ( Unicast 방식, 1:1 )

      : 7/8시간 이후에는 Broadcast 방식을 사용. 기간만료 시 expire,

        APIPA 할당 ( 169.254.x.x , 내부통신 가능)

 

  - DHCP Binding Address : DHCP Server는 반드시 서비스 하는 Network 대역 중 하나의 IP를 고정IP로 가져야한다. 

 

  - 철저하게 2계층 통신.

    1) MAC address만 확인

    2) 유효하지 않은 MAC address에도 IP를 할당

    3) MAC 필터링 기능을 활용해서 보안요소 적용

 

  1.1 APIPA

    - 우리 회사(조직)는 고정 IP를 쓴다.

    - DHCP 서버에 문제가 생김.

    - Network에 문제가 생겨 DHCP서버에 도달할 수 없다.

ip를 할당하지 않았을 때 자동으로 APIPA 할당됨을 보임. 가상머신 내에서 통신 가능.

 

 

 

2. DHCP 구성

  - 할당 받은 네트워크는 10.0.0.0/24

     1) 서버는 40대 운영. 모두 고정 IP사용 중이며 네트워크 앞쪽의 IP를 순차적으로 사용.

     2) DHCP 서버는 첫번째 서버. 

     3) DNS서버는 첫번 째 서버와 Google의 Public DNS를 2차 DNS로 사용중.

     4) Gateay 주소는 네트워크의 마지막 IP 주소를 사용.

     5) 임대시간은 1시간

 

2.1. 윈도우서버 DHCP

  - DHCP 기능 추가 및 설치

위 과정을 통해 역할 기반으로 DHCP 설치

 

 

  - 도구 -> DHCP 선택하여 실행

DHCP 실행

  - ipv4 우클릭을 통해 새범위 생성.

 

 

 

  - 클릭하게되면 새범위 마법사가 실행

실행 후 이름을 지정

 

 

  - 범위 입력, 범위 오입력 시 오류 출력

네트워크 ID가 추가된 경우 오류가 나게 된다. 그렇기에 사용가능한 IP만 입력하도록 한다.

 

 

  - 제외 주소 및 지연을 추가 후 진행

     --> dhcp 서버가 시스템에 두개가 있을 때 지연시간을 부여함으로서 한가지의 dhcp 서버에서 IP를 할당.

서버 40대 운용중인 ip와 게이트웨이 제외 후 다음.

  - 임대 시간을 지정.

1시간으로 지정해준다.

 

  - DHCP 기본 옵션을 구성. 라우터, dns 등등

외부인터넷을 허용하지않을 때는 게이트웨이 주소가 옵션.
기본 게이트웨이 주소 추가 후 진행
도메인 주소는 서버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DNS 고정 주소를 가져온다. 추가 시 미리 DNS 서버를 검색한 후 확인해준다.

 

DNS가 기능을 대신하기에 넘어가준다.
활성화함으로서 범위 추가 완료
완료된 모습

 

  - window10을 DHCP를 통해 IP 할당

/release 명령어를 통해 ip 초기화하고 /renew 명령어를 통해 IP할당
DHCP에 설정한대로 IP할당됨을 볼 수 있다.

  - IP 할당 후 윈도우서버로 확인하여 보면 주소가 임대되어 있음을 보인다.

윈도우10의 IP 10.0.0.41이 할당되고 윈도우11에서도 동일하게 진행하면 ip가 할당됨을 볼 수 있다.

 

  - 서버 옵션은 서버 전체에 옵션을 주는 방법. 적용은 서버 옵션이 먼저이나 범위 옵션의 우선순위가 더 높다.

      실행 순서 : 서버옵션 -> 범위 옵션 -> 예약 옵션

      우선 순위 : 예약옵션 -> 범위 옵션 -> 서버 옵션

해당 옵션들은 우클릭을 통해 새로운 옵션 부여 가능

 

2.2. 리눅서 DHCP 설정

  - yum 명령어를 통해 DHCP 설치

DHCP 설치를 완료

 

  - vi 편집기를 이용하여 dhcpd.conf 파일을 확인하면 예제파일의 위치를 알 수 있다.

/usr 디렉토리안에 있는 예제파일 위치 확인

 

  - 예제 파일을 복사하여 옮겨준다.

/etc/dhcp/dhcpd.conf 로 복사

 

  - 복사한 예제파일을 vi편집기를 이용하여 편집.

    주소입력창과 예약 입력창을 제외한 부분을 제거한 뒤 편집.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* 1번줄 : 할당받은 IP와 서브넷 마스크 입력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2번줄 : 사용가능한 IP범위 지정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3번줄 : DNS 서버 IP 지정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4번줄 :  DNS 도메인 주소 지정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5번줄 : 게이트웨이 주소 지정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6번줄 : 브로드케스트 주소 지정 (필수x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7~8번줄 : 지연시간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10~12번줄 : 예약 설정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max-response-delay 시간 : 추가 시 지연시간 추가

 

 

  - dhcp 기능을 실행

    enable로 설정 시 자동으로 실행.

status로 실행확인.

  - 윈도우에서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IP를 할당받는다.

DHCP가 10.0.0.11로 정상적으로 할당.

  - dhcpd.leases 파일로 할당 확인.

 

 

3. 예약기능

  - 특정 Host에 대해서 항상 동일한 IP Service

  - DHCP내에서 고정 IP처럼 항상 동일한 IP를 우선적으로 할당한다.

  - 설정 IP Address 호스트의 MAC 주소 필요.

 

3.0. MAC 주소 변경 (virtual MAC) 

  - MAC 주소는 물리적인 주소로 한번 할당받게되면 변경되지 않는다..

 

  - ncpa.cpl -> 이더넷 속성 -> 구성

 

 

  - MAC주소를 외우기 쉽게 w10과 w11의 MAC 주소를 000000000001, 000000000002 로 변경

 

  - MAC 주소를 변경함에 따라 IP 주소를 다시 받게 된다.

MAC주소가 변경되어 10.0.0.43, 44로 재할당됨
dhcp 서버의 dhcpd.leases 파일에 적용됨을 확인

 

3.1. 리눅스 예약기능

  - vi 편집기를 통하여 dhcpd.conf 파일에서 예약기능 설정.

시스템의 이름, 시스템의 MAC 주소, 변경할 IP주소 기입
변경후 재시작

  - IP를 재할당 받게 되면 설정한 그대로 IP를 할당받는 것을 볼 수 있다.

101, 201을 예약한대로 받는다.

  - 예약기능을 설정하면 임대현황 (leases파일) 에는 나오지 않는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3.2. 윈도우 예약기능

  - 도구->DHCP 탭을 들어간 후 IPv4->예약 우클릭 -> 새 예약 선택.

 

 

  - 예약 설정할 이름, 예약설정할 기기의 맥주소와 적용시킬 IP주소 입력.

예약생성 확인

 

 

  - 각 윈도우에서 release와 renew명령어를 통해 새롭게 할당.

all을 사용하여 확인하면 맞게 변경됨을 확인.

 

 

 

 

  - 윈도우 서버 DHCP 도구에서 주소 임대 탭을 들어가보면 주소할당을 확인할 수 있다.

101과 102 주소 할당을 확인

 

 

4. MAC 필터링

4.1. 윈도우 MAC 필터링

  - 필터링 기능을 통해 해당되는 MAC주소를 가진 기기에게만 허용하거나 거부하는 기능

  - 필터 탭 -> 허용 or 거부 -> 새필터

  - 허용하거나 거부하고자하는 MAC주소 입력.

    *를 이용하여 전체를 뜻함.

  - 우클릭을 통해 사용을 클릭하게되면 적용.

  - 필터링이 적용되어 ip할당이 되지 않는다.

 

 

4.2. 리눅스 MAC 필터링

  - vi 편집기를 이용하여 dhcpd.conf 파일을 수정함으로서 필터링을 적용.

  - 클래스 구문을 통해 MAC주소를 입력하며 pool 구문을 allow와  deny를 적용하여 맥주소가 일치할때는 allow 부분       의 ip를 할당, 불일치 시에는 deny 부문의 ip를 할당. ( 기존 ip범위를 주석처리 )

00:00:00 주소를 갖는 기기에게 아이피를 100~150까지 할당

  - dhcpd 시스템을 재시작해주면 적용이된다.

맥주소가 00:00:00이 아닌경우 ip할당 x
맥주소가 00:00:00 인 경우 ip할당된다.

'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0. DNS(1)  (0) 2022.03.21
19. FTP  (0) 2022.03.16
17. SSH Key Generator & Connecton  (0) 2022.03.04
16. 아파치 웹서버 스크립트 생성  (0) 2022.03.03
15. 아파치 웹서버 설치  (0) 2022.03.0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