0. 환경 설정
1. DHCP 분할
- DHCP 서버 이중화
- cluster 구성
- 자체 cluster 기능 지원
- MEM1 MEM2 멤버서버들에 DHCP 기능설치
- 두 서버 모두 dhcp 권한 부여
- 첫번째 서버에서 범위 생성
- 범위 -> 우클릭 (고급) -> 분할 범위
- dhcp 분할 범위 구성 마법사
- 첫 번째 서버와 두번째 서버에서 확인. 추가한 서버에는 DHCP 자동으로 설정
- DHCP 범위 활성화
- w10에서 받기
- 첫 번째 서버 중지 후 ip를 받는다.
- 두 번째 서버에서 ip를 받는 것을 확인
- 첫 번째 작동을 다시 실행하고 주소임대를 확인하면 임대된 주소가 사라진 것을 보인다.
- DHCP는 쓰던 IP를 계속 쓰려고 하기 때문에 정상으로 되돌려도 첫 번째 서버에서 IP를 받아오지 않는다.
2. DHCP 클러스터
- 범위 삭제 후 범위 재생성
- 범위에서 장애조치 구성 선택
- 장애 조치 구성
- 두 서버 동일하게 구성된 것을 볼 수 있다.
- 클라이언트에서 확인하면 어느 서버에서 받아올지 알 수 없다.
3. 사용자 정의 클래스
- 옵션값만 따로 설정한다.
- 새로운 클래스 생성
- 새 정책 구성
- 정책 설정
- 새로운 정책 확인
- 클라이언트의 네트워크 카드 이름 변경
- cmd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후 명령어 실행
'윈도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9. AD환경 - DNS (0) | 2022.05.03 |
---|---|
18. AD환경 - 원격 접속 (0) | 2022.05.02 |
16. Active Directory (10) RODC (0) | 2022.04.29 |
15. Active Directory (9) 새로운 domain tree root, 사이트 생성 (0) | 2022.04.28 |
14. Active Directory (8) 자식도메인 강제삭제 (0) | 2022.04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