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윈도우

17. AD환경 - 분할 DHCP , 클러스터, 사용자 분할

0. 환경 설정

ad 서버 생성 및 멤버서버 생성
사용자 생성
윈도우도 멤버서버로 설정

 

1. DHCP 분할

  - DHCP 서버 이중화 

  - cluster 구성

  - 자체 cluster 기능 지원

  - MEM1 MEM2 멤버서버들에 DHCP 기능설치

  - 두 서버 모두 dhcp 권한 부여

정상적으로 활성화됨을 확인

  - 첫번째 서버에서 범위 생성

  - 범위 -> 우클릭 (고급) -> 분할 범위

  - dhcp 분할 범위 구성 마법사

분할 비율 구성
추가된 서버에 지연시간 설정
리뷰 정보

 

  - 첫 번째 서버와 두번째 서버에서 확인. 추가한 서버에는 DHCP 자동으로 설정

분할한 주소풀로 설정된 DHCP가 보인다.

 

  -  DHCP 범위 활성화

  - w10에서 받기

 

  - 첫 번째 서버 중지 후 ip를 받는다.

서버 중지

- 두 번째 서버에서 ip를 받는 것을 확인

 

  - 첫 번째 작동을 다시 실행하고 주소임대를 확인하면 임대된 주소가 사라진 것을 보인다.

  - DHCP는 쓰던 IP를 계속 쓰려고 하기 때문에 정상으로 되돌려도 첫 번째 서버에서 IP를 받아오지 않는다.

 

 

 

 

2. DHCP 클러스터

  - 범위 삭제 후 범위 재생성

 

  - 범위에서 장애조치 구성 선택

 

  - 장애 조치 구성

멤버서버 선택
관계 설정 완료

 

 

  -  두 서버 동일하게 구성된 것을 볼 수 있다.

 

  - 클라이언트에서 확인하면 어느 서버에서 받아올지 알 수 없다.

 

 

3. 사용자 정의 클래스

  - 옵션값만 따로 설정한다.

  - 새로운 클래스 생성

 

  - 새 정책 구성

 

 

  - 정책 설정

 

 

설정완료

 

  - 새로운 정책 확인

 

  - 클라이언트의 네트워크 카드 이름 변경

  - cmd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후 명령어 실행

정책에서 지정한대로 ip 할당됨을 보임
뒤에 class id를 떼는것으로 설정해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