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도커 설치
- yum-util 설치
- 도커 리포지토리 추가
- 도커 CE 설치
- 도커 실행
- 스크립트 파일을 생성해서 설치 가능
2.1. 도커 간단한 명령어 확인
- #docker --help 명령어를 통해 커맨드 정보를 알 수 있다.
- hello-world 이미지 실행
- 프로세스 확인 및 제거 후 확인
- 도커를 이용하여 httpd 실행 : 가상머신에 비해 가볍다.
- 도커 search 명령어로 도커 허브의 이미지 검색
- nginx 이미지 다운
- 다운받은 이미지 확인
- 이미지 삭제 명령어
- CentOS 7 이미지 설치
2.2. 원격 리포지토리 생성
- 원격 리포지토리 생성
- 로컬 리포지토리 설정 : Centos에서 원격 리포지토리에서 올려 사용할 이름 그대로 변경
- 원격 리포지토리에 PUSH
- 기존의 레포지토리를 삭제하고 생성한 원격레포지토리를 이용해 재다운
2.2.1 원격 리포지토리 생성 실습
- nginx 와 httpd 이미지를 다운
- 원격 레포지토리 생성
- 원격 레포지토리의 이름으로 변경
- 도커 계정으로 로그인 후 업로드
- 원격 레포지토리 확인
- docker run -itd -p 8080:80 --name n1 httpd
-> -it : 데몬이 아닌 터미널
-> -d : 데몬 기반
-> -p : 포트번호 지정 8080포트의 신호를 80포트로 보냄
-> --name : 별칭
- 서비스가 있는 서비스를 실행 할때는 run -d 옵션을 활용한다.
- 실행되고 있는 컨테이너를 삭제할때는 rm -f 옵션을 사용하거나 컨테이너를 멈추고 삭제를 진행.
-> rm -f 옵션 사용
-> dock stop 명령어 사용
- 삭제 확인
'도커&쿠버네티스 > 도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. 도커 : LoadBalancer 환경 구성 (0) | 2022.05.30 |
---|---|
5. 도커 (4) 볼륨 (0) | 2022.05.30 |
4. 도커(3) (0) | 2022.05.27 |
3. 도커(2) (0) | 2022.05.26 |
1. 도커 기본 이론 (0) | 2022.05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