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클라우드/vSphere

3. VMware vSphere (3)

1. 여러 호스트 관리

  - 메모리 4gb를 가지는 또 다른 ESXi-1 생성 : IP = 10.0.0.62

새로운 ESXi 생성

  - 호스트 추가 시 AD의 연결되어있으면 DNS에 도메인을 등록하여 도메인으로도 등록이 가능.

  -  vcenter에 기존에 생성해놓은 데이터센터 test에 새로 생성한 ESXi 호스트 추가

호스트 추가

 

새로 생성한 서버 추가

 

추가 완료

 

  - 해당 방법으로 새로 생성한 호스트에 스토리지 연결

데이터 저장소를 추가

 

데이터 스토어가 추가됨을 확인

 

  - 데이터 스토어의 경우 ESXi에서 개별적으로 추가 가능.

10.0.0.61에서 추가

 

  - 1번 호스트, 데이터 스토어 1번에 가상머신 추가

해당 과정으로 진행

 

  - vmware remote를 통해 가상머신에 진입하여 설치 진행

설치 완료

 

1.1. 스토리지 마이그레이션

  - 마이그레이션

  - 스토리지 변경

스토리지 변경

 

스토리지 선택

 

결과

 

  - 스토리지 변경이 가상머신이 종료되지 않고 마이그레이션 된다.

구성이 변경됨을 확인

 

 

1.2. 호스트 마이그레이션

  - 마이그레이션 선택

  - 네트워크 설정 변경 x : vmotion 오류

그냥 진행하게되면 오류메세지가 뜬다.

  - 클러스터 추가

클러스터 추가
해당 설정한 대로 설정
생성한 클러스터에 호스트 이동

  - 네트워크 설정 변경 : 네트워크 추가 vmotion 사용 체크 : 두 호스트 모두 진행

  -  10.0.0.61, 62 진입 후 설정, 두 호스트 둘 다 설정

선택

 

설정 편집을 통해 vmottion 설정

 

  - 호스트 마이그레이션 : 실행 중 os가 옮겨진다. ( 메모리까지 다 옮긴다.) ==> vmotion

계산 리소스 변경

 

이동할 호스트 선택

 

네트워크 선택

 

우선 순위 선택

 

설정 완료

 

마이그레이션 성공

 

'클라우드 > vSphe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. VMware vSphere (2)  (0) 2022.06.09
1. VMware vSphere (1)  (0) 2022.06.0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