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클라우드/GCP

2. GCP ( 네트워크, 스토리지, DNS )

1.  네트워크

  - 다른 두 개의 클라우드 서비스와 다르게 vpc안에 region 존재

  - vpc끼리는 vpc peering이 필요하지 않다.

 

1.1. VPC 생성

  - 기존에 생성되어있다.

 

  - 새로이 생성도 가능하다 : 생성과정

이름 지정 및 설정
서브넷 생성

 

정상적으로 생성됨을 확인

 

 

  - 방화벽 생성

test네트워크에 해당되는 방화벽 생성

 

  - 인스턴스 생성

web 인스턴스 생성

 

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록

 

 

  - 공인 주소 할당

 

2. cli 사용

  - 계정 로그인

 

  - 리전 설정

 

  - 존 설정

 

  - 설정 확인

 

  - 설정 확인 후 접속

원격 접속 확인

 

  - cli를 통해 인스턴스 web-2 생성 후 연결

인스턴스 생성

 

compute ssh를 통해 접속

 

 

3. filestore   ( aws에서는 efs ) 

  - nfs를 통한 파일 저장소

 

 

  - 인스턴스 만들기

이름 및 유형 설정

 

세부 설정 진행

 

생성완료

 

 

  - web 인스턴스를 통해 접속

nfs 설치
디렉토리 생성 후 nfs로 mount => 1tb 저장소가 생긴 것을 확인

 

  - 접속하여 파일 생성

 

  - web-2 로 접속하여 마운트하여 파일 확인 : 공인 ip 부여

nfs 설치

 

마운트하여 파일 확인

 

 

4. Cloud Storage  ( aws s3 )

  - 버킷 생성

버킷 생성

 

  - 파일 업로드

 

  - 공개액세스를 하기 위해 allusers 권한 추가

 

  - 인증된 url을 이용하여 확인하면 이미지가 보임을 확인

인증된 url 복사

 

출력됨을 확인

 

5. Cloud DNS

  - 영역 생성

영역 생성

 

생성 완료 ( 네임서버 복사)

 

  - 호스팅케이알에 접속하여 구글에서 제공하는 네임서버로 변경하고 호스트 등록

네임서버 변경

 

 

 

 

 

  - 레코드에 www 도메인으로 web1로 접속하도록 등록

레코드 등록

 

등록 확인

 

  - test 영역 웹 방화벽 열기

 

 

6.1. ftp 서비스 실행하여 도메인으로 접속

  - ftp를 위한 방화벽 열기

 

 

  - ftp 레코드 추가

레코드 추가

 

  - ftp 서비스 설정 및 실행

서비스 설치
설정파일과 사용자 생성
서비스 시작

 

  - 도메인을 통해 접속

도메인을 통해 접속 가능

'클라우드 > GC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4. GCP ( 오토 스케일링 )  (0) 2022.06.29
3. GCP ( DB, 로드밸런싱 )  (0) 2022.06.28
1. GCP ( 인스턴스 생성 및 wordpress)  (0) 2022.06.2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