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클라우드/GCP

3. GCP ( DB, 로드밸런싱 )

1. DB 

  - 인스턴스 생성

이름 및 영역 설정

 

비공개 ip 생성 -> 비공개 서비스 액세스 연결 필요

 

생성 완료

 

  - 인스턴스에 wordpress 설치

httpd 설치

 

php 설치

  

db 조작을 위한 client 설치

 

파일 다운로드 및 압출풀기 -> html 디렉토리로 이동

 

sample 설정 후에 db 주소 입력
httpd.conf 파일 변경

 

  

   

- GCP 콘솔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추가

  - 연결을 통해 호스트 추가

웹 인스턴스 추가

 

 

  - 페이지 연결

페이지 연결

 

 

  -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자동화 설치 및 구현

스크립트 파일 구현

 

자동으로 구현됨을 보임

 

2. 부하 분산 ( 로드밸런싱 )

  - /var/www/html/index.html 파일 생성  : health 체크용

html 파일 생성

 

  - 인스턴스 그룹만들기 ( NEW unmanaged instance group ( 부하분산 그룹) ) 

부하 분산 그룹 생성

 

그룹 생성 완료

 

 

  - 네트워크 -> 부하 분산 -> 부하분산기 만들기 -> httpd 부하 분산 

http 부하 분산 구성 시작 선택

 

외부 로드밸런스로 설정

 

프록시 서브넷 생성 및 프론트 설정

 

백엔드 구성

 

상태 체크 구성

 

검토 후 생성

 

  - 생성 후 확인

생성확인

 

 - 로드밸런스 ip 입력 시 화면 출력

화면 출력 성공

 

2.2. 인스턴스 템플릿을 통해 웹 인스턴스 2개 통해 부하분산

  - 이미지 생성 시 항상 서비스가 켜질 수 있도록 서비스 enable

 

 

  - 이미지 만들기

이미지 만들기

 

이미지 생성 완료

 

  - 인스턴스 템플릿 만들기

생성한 이미지를 통해 템플릿 생성

 

외부 ip없이 설정 및 생성 완료

 

 

  - 생성한 인스턴스 템플릿을 통해 web-1, web-2 인스턴스 생성

인스턴스 생성

 

생성 완료

 

  - 인스턴스 그룹 생성

새로이 생성한 인스턴스를 그룹으로 생성

 

  - 생성한 인스턴스 그룹을 사용하여 부하분산 생성

이름 및 리전 및 네트워크 설정 ( 기존 생성해 놓은 프록시 전용 서브넷 사용)

 

  - 백엔드 구성

생성한 인스턴스 그룹 사용

 

서비스 생성하여 추가

 

  - 생성완료 확인 후 프론트 엔드 주소를 통해 접속 테스트

생성 완료

 

접속이 잘됨을 확인

'클라우드 > GC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4. GCP ( 오토 스케일링 )  (0) 2022.06.29
2. GCP ( 네트워크, 스토리지, DNS )  (0) 2022.06.27
1. GCP ( 인스턴스 생성 및 wordpress)  (0) 2022.06.2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