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리눅스

1. Workstation Pro를 이용한 실습 환경 구성(1)

0. 목차

  1.  VMware Workstation

    1.1 Virtual Mashine 생성

    1.2 Virtual Mashine Network 설정

    1.3 Virtual Mashine OS 설치 : 예시 리눅스

    1.4. Virtual Mashine Clone

 

 

1.  VMware Workstation

  - VMware Wokrstation pro16을 이용해서 가상머신 환경을 만든다.

 

 1.1 Virtual Mashine 생성

  - VMware Wokrstation 상단의 File -> New virtual machine 이나 화면 중단에 있는 Create a New virtual machine을        클릭. 

가상머신 생성과정0

 

 

  - Custom 선택 후 Next 선택.

가상머신 생성 과정1

 

 

  - 기본으로 선택되어 있는 워크스테이션 최신버전을 선택하고, OS 설치방법을 묻는 세 가지 방법 중 나중에 설치하는       세번째 옵션을 선택.

가상머신 생성 과정2

 

 

  - 원하는 운영체제와 운영체제의 버전을 선택. 아래 그림에서는 CentOS7의 리눅스를 선택한 모습이다.

    설치하는 운영체제와 선택된 운영체제가 다르더라도 설치가 가능하다.

가상머신 생성과정3

 

 

  - 가상머신의 이름과 경로를 지정하는 과정.

가상머신 생성과정4

 

 

  - 프로세서의 개수와 램의 원하는 용량을 기입하는 과정. 각 운영체제의 요구사항에 맞게 기입.

가상머신 생성과정 5

 

 

  - 순서대로 네트워크와 입출력 유형, 디스크 타입에 관하여 나온다.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기본 설정으로 진행.

가상머신 생성과정 6

 

 

  - ISO 파일 입력을 위한 디스크를 설정하는 과정. 새로운 디스크 생성 선택.

가상머신 생성과정 7

 

 

 - 드라이브 관련 설정. 원하는 용량을 기입, 정적 할당 드라이브 체크 해제, 싱글 디스크로 설정.

   -> 드라이브를 정적으로 할당하게 되면 실제로 용량만큼의 저장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본 실습에서는 불필요.

   -> 분할 구성은 안정성과 파일의 이동성이 좋지만 본 실습에서는 불필요.

가상머신 생성과정8

 

 

  - 마지막으로 Finish를 누르게 되면 가상 머신 구성 완료. 추후 Edit virtual machine settiings 버튼을 통해 하드웨어 구      성 변경 가능

가상머신 생성 완료

 

 

 

 

 1.2 Virtual Mashine Network 설정

  - 워크스테이션 상단에 위치한 edit -> Virtual Network Editor 선택

가상머신 네트워크 설정 0

 

 

  - Change Setting 버튼 선택하여 네트워크 편집.

    아래 화면을 통해 네트워크 타입 3가지의 설정과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.    

가상머신 네트워크 설정 1

 

 

  - VMent1 NAT 와 VMnet8 Host-only의 서브넷 IP와 서브넷 마스크를 실습환경에 사용할 IP로 바꾸어준다.

    Connect a host virtual adapter to this network란을 선택함으로써 가상머신에 네트워크가 연결.

    DHCP 서비스 선택란을 해제.

가상머신 네트워크 설정 2

 

 

  - 실제 호스트 PC에서 NAT과 Host-only 어댑터의 아이피를 변경.

    해당하는 IP를 각 어댑터의 IPv4 속성에 기입.

    * 10.0.0.254의 경우 게이트웨이 주소 이므로 주의해서 입력.

네트워크 연결창 진입
가상머신 네트워크 설정 3

 

 

  - 네트워크 설정 완료.

 

 

 

 1.3 Virtual Mashine OS 설치 : 예시 리눅스

  - 가상머신에 OS를 설치하려면 가상머신에 ISO파일을 넣어줘야함.

    만든 가상머신창에 CD/DVD(IDE)란을 클릭하거나 Edit virtual machin settings란을 클릭하여 진입.

가상머신 OS설치 0

 

 

 

 

  - CD/DVD(IDE) -> Connect at power on 체크 -> Use ISO image file 체크한 후 설치하고픈 OS의 ISO파일을 선택. 

가상머신 OS설치 1

 

 

  - OK를 누른 후 가상머신의 전원을 킴.

가상머신 OS 설치2

 

 

  - 가상머신의 전원을 키게 되면 Install CentOS7 란을 키보드를 이용하여 Install CentOS7 선택

가상머신 OS설치 3

 

 

  - 언어는 한국어로 설정하며, 설치요약에서는 느낌표를 제거.

가상머신 OS설치 4

 

 

    - 설치대상을 클릭하여 디스크를 지정. 그리고 KDUMP 비활성화.

      KDUMP : 커널 패닉이 발생 하였을때, 시스템의 메모리 상태를 vmcore 라는 파일 형태로 생성하는 작업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=> 본 실습에서는 불필요.

가상머신 OS설치5

 

 

  - 처리 후 설치가 시작. 설치하는 동안 ROOT 암호를 설정.

가상 머신 OS 설치6

 

 

  - 설치 완료 후 재부팅 버튼을 누르면 리눅스 설치 완료.

가상 머신 OS 설치 완료

 

 

 

 1.4. Virtual Mashine Clone

   - Virtual Mashine Clone은 사용자가 만들어 놓은 가상머신을 복제하는 기능.

 

  1.4.1. Virtual Mashine Clone 사용

   - 사용자가 복제하고 싶은 가상머신을 우클릭하고 Mange->Clone 을 선택하면 클론을 만들기 위한 마법사 실행.

가상머신 클론 0

 

 

  - 첫 번째 옵션은 현재 상태의 가상머신을 복제, 두 번째 옵션은 스냅샷 상태의 가상머신을 복제.

     만들어 놓은 스냅샷이 따로 없기 때문에 현재 상태의 가상머신을 선택.

가상머신 클론 1

 

 

  - 클론의 형태를 정하는 과정. 본 과정에서는 Create a Full Clone 을 선택.

    선택 후 이름 지정하고 복제 마침

     1) 클론 방법

        Linked Clone : 원본 가상 머신의 파일들을 링크로 연결하여 복제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반드시 원본 가상머신 필요. 독립적으로 운영 가능 X

        Full Clone :  원본 가상 머신의 파일들을 모두 복사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독립적으로 운영 가능.

가상머신 클론 2

 

 

  - 위 과정이 끝나면 설정한 이름으로 클론이 생긴 것을 볼 수 있다.

가상머신 결과

'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6. 사용자 및 그룹 관리 (1)  (0) 2022.02.20
5. 파일 및 디렉토리 권한  (0) 2022.02.19
4. Archive & 압축  (0) 2022.02.19
3. 리눅스 기본 명령어  (0) 2022.02.19
2. Workstation Pro를 이용한 실습 환경 구성(2)  (0) 2022.02.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