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리눅스

2. Workstation Pro를 이용한 실습 환경 구성(2)

0. 목차

 1. 실습환경 구성 및 설정   

  1.0. 실습환경 가상머신 환경 요약

  1.1. 리눅스 설치 및 설정

  1.2. 윈도우10&11&서버 및 설정

 2. 원격 환경 설정

  2.1. putty

  2.2. xshell

  2.3. 윈도우 환경

 

1. 실습환경 구성 및 설정

  1.0. 실습환경 가상머신 환경 요약.

Host W2K19-
AD
W2K19-
MEM
W2K19-
MEM2
CentOS-1 CentOS-2 CentOS-3 W11-1 W11-2 W10-1
IP 10.0.0.1 10.0.0.2 10.0.0.3 10.0.0.11 10.0.0.12 10.0.0.13 10.0.0.101 10.0.0.201 10.0.0.102
Subnetmask 255.255.255.0
Gate
way
10.0.0.254
DNS 10.0.0.1      ,       168.126.63.1
CPU 1P2C 1P2C 1P2C 1P1C 1P1C 1P1C 1P2C 1P2C 1P2P
MEM 2048 2048 2048 1024 1024 1024 4096(2048) 4096(2048) 2048
HDD 60GB
NIC NAT

  - 위의 표와 같이 가상머신 환경을 구성.

  - 표의 왼쪽부터 윈도우서버 2019, CentOS7 리눅스, 윈도우11, 윈도우10.

 

  1.1. 리눅스 설치 및 설정

      - 앞서 워크스테이션 OS를 설치하며 리눅스를 설치하였다.

        앞서 설치한 리눅스 가상머신인  CentOS-TEM을 이용하여 설정, 클론 기능을 이용해서 환경 구성.

 

  1) CentOS7-1 실행

    리눅스를 실행하면 로그인 과정이 뜬다.

    로그인 계정에  root 와 설치 시 함께 지정한 패스워드를 입력.

리눅스 설정

  

 

  2) Selinux 끄기

     Selinux : 관리자가 시스템 액세스 권한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리눅스 시스템용 보안 아키텍처 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본 실습 과정에서는 실습과정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비활성화를 해준다.

 

       - setenforce 0 명령어를 이용하는 방법 : 이 방법은 기기가 재작동하면 다시 작성해야함.

             > getenforce 명령어를 이용하여 상태확인

             > setenforce 0 을 이용하면 상태가 Enforcing에서 Permissive로 바뀐다.

setenforce 명령어 이용

                

       - vi 편집기를 이용하는 방법 : 기기가 재작동하여도 설정이 지속.

              > vi 편집기를 이용하여 vi /etc/sysconfig/selinux에 진입

              > a 키를 이용하여 편집모드 진입, 그 후 esc키를 이용하여 명령어 모드, :wq를 이용하여 저장하고 종료.

vi 편집기 이용

       - 재부팅 후 getenforce 명령어를 이용하면 Disabled 된 것을 볼 수 있다.

재부팅 후

  

  3) 네트워크 설정

    - vi 편집기를 이용하여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ns33에 진입.

ifcfg-ens33 파일의 내용

    - 파일의 내용을 아래의 그림과 같이 변경.

      * IPADDR 부분의 해당 가상머신의 IP를 넣는다. 아래과정은 CentOS-1.

      * 1.0. 가상머신 환경요약 에 있는 내용들을 토대로 각 항목에 IP를 기입.

네트워크 설정

    - 저장 후 적용을 위해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재시작한 후 확인.

       systemctl restart network 명령어를 이용하여 재시작하며, ip a 명령어를 이용하여 적용을 확인.

아래 부분을 보면 작성한 IP대로 적용됨을 확인할 수 있다.

  4) Hostname 변경하기

    - hostnamectl set-hostname 바꿀이름  :  hostname을 변경하는 명령어.

       hostnamectl : hostname을 확인하는 명령어. 

    - 위와 같은 명령어를 이용하여 CentOS7-1로 설정 후 확인.

호스트 네임 변경

  5) 리눅스 설정 완료

    - 위 과정을 완료하면 CentOS7-1 가상머신 설정을 완료.

    - Workstation Clone 기능을 이용하여 CentOS7-1을 복제하여, 가상머신 환경에 맞게 리눅스를 설치.

    - 네트워크 설정의 IPADDR란과 Hostname 변경을 해당하는 내용으로 작성.

 

 

1.2 윈도우 설치 및 설정

  1) 윈도우11 & 10 & 서버 2019 설치

    - 윈도우를 설치하기 위해 가상머신을 준비.

    - 윈도우11과 1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window 10 and later X64 를 선택.

윈도우 설치 과정1

 

    - 이름과 경로를 지정

윈도우 설치 과정 2

    - 펌웨어 타입을 지정

      > 윈도우 11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UEFI 타입과 Secure Boot에 반드시 체크.

      > 윈도우 10과 서버 2019의 경우 BIOS 타입으로 설치하여도 무방.

윈도우 설치과정 3 타입 지정

   

 

    - 가상 머신 환경 표에 맞게 프로세스와 램을 지정

     > 윈도우 11의 경우 설치 시 메모리를 4096MB으로 지정. 추후 2048MB로 변경.

     > 윈도우 10의 경우 2048MB로 충분.

윈도우 설치과정 4

 

    - 네트워크 타입과 입출력 장치타입, 디스크 타입은 기본 설정을 따른다.

윈도우 설치과정 5

 

 

    - 새로운 디스크 생성 및 디스크 용량 지정 ->  정적할당 체크X  ->  Single Disk O

윈도우 설치 과정 6

 

    - 윈도우 11의 경우 하드웨어에 Trusted Plaform Module의 설치가 필요.

      하지만 아래 그림과 같이 처음에 설치 불가능.

윈도우11 설치 과정 6-1

 

     - Virtual Machine Settings의 options -> Acess Control -> Encrypt 버튼을 통해 암호화 진행.

윈도우11 설치 과정 6-2

 

    - 위 과정을 진행하면 rusted Plaform Module의 설치가 가능.

윈도우11 설치 과정 6-3

 

 

    -  CD/DVD 설정을 선택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윈도우 ISO파일을 넣어준다.

윈도우 설치과정 7

 

 

    - 설치과정에 따라 다음으로 진행.

윈도우 설치과정 8

    

 

    - 각각 윈도우10과 11은 Enterprise 버전을 사용했으며, 윈도우 서버 2019는 DataCenter ( 데스크탑 경험 )으로 설치.

윈도우 설치과정 9

 

 

    - 윈도우를 새롭게 설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Window만 설치 진행.

윈도우 설치과정 10

 

 

    - 드라이브를 지정하고 설치 완료

윈도우 설치과정 11

 

 

  2) 윈도우10 & 11 설정

    - 윈도우10과 11의 설치를 완료하였으면 5가지 설정이 필요.

    - 윈도우 업데이트 중지

      > 윈도우+r  -> services.msc 명령어를 통하여 Windows Update 작동 중지.

윈도우 업데이트 작동 중지

 

    - 윈도우 아이피 변경.

      > 윈도우+r -> ncpa.cpl 명령어를 통하여 아이피 설정.

      > 실습환경에 맞게 아이피를 설정.

아이피 변경 과정

 

 

    - VMware Tools 설치

      > 워크스테이션 VM -> Install VMware Tools 클릭

VMware Tools 설치1

       > 가상머신 내에 DVD 드라이브를 통해 설치

VMware Tools 설치2

    

    - 방화벽 설정

       > 제어판 -> Windows Defender 방화벽 -> 고급설정 -> 인바운드 규칙 -> 파일 및 프린터 공유 (IPv4) 허용.

방화벽 설정

  

 

    - 디스플레이 끄기 및 절전모드 해제

      > 제어판 -> 전원옵션 -> 설정변경 -> 해제

전원 옵션 해제

 

 

    - PC 이름변경

      > 가상머신 환경에 맞는 이름으로 변경.

이름 변경

    - 윈도우 10 & 11 환경 구성 완료.

 

 

 

  3) 윈도우 서버 설정

    - 윈도우10&11 설정과 비슷하지만 몇 가지 다른 점이 존재.

    - VM Tool 설치와 방화벽 허용, Windows Update 중지, 전원 옵션 설정은 동일.

    - 다른점1: 초기 설정 화면이 비밀번호 입력창으로 시작 

윈도우 서버 초기화면

 

 

    - 다른점2 :  로그인 후 서버 화면에 있는 컴퓨터 이름과 이더넷을 클릭함으로써 변경 가능.

윈도우 서버 IP와 이름 설정.

  4) 윈도우 클론

    - 윈도우의 경우 아무런 설정 없이 클론 기능을 활용하게 되면 각 컴퓨터의 SID까지 복제. 따라서 충돌이 나게된다.

    - 윈도우+r -> sysperp 명령어를 이용.

      일반화와 시스템 종료를 선택. 이 과정이 끝나면 해당 가상 머신 실행 X 

윈도우 클론 과정

   - 위 과정을 거친 후 윈도우 가상머신을 복제하게 되면 성공적으로 복제.

   - SID 값이 다른 것을 볼 수 있다.

SID 값 비교

    - 네트워크 설정과 컴퓨터 이름을 제외한 설정들이 모두 유지.

IP와 네트워크만 재설정하면 된다.

    

    - sysprep을 이용하여 윈도우 가상머신 템플릿을 만들어 클론을 이용해서 가상머신 환경 구성 완료.

 

 

2. 원격 환경 설정

 2.1. putty

  - putty.org를 통하여 설치.

  - Host Name란에 원격으로 접속할 아이피 입력.

   포트는 22, 커넥션은 SSH, Telnet으로 설정.

  - save 기능을 통해 추후 다시 입력하지않고 바로 접속 가능.

putty를 사용한 원격

 

2.2. xshell

  - netsarang.com을 통하여 설치.

  - 실행 -> 새로 만들기 -> 이름란에 원하는 이름 기입 -> 호스트에 IP 기입

xshell를 사용한 원격 1

  

  - 사용자 인증 -> 이름, pwd 기입  ==> 추후 연결 시 인증 없이 연결.

xshell를 사용한 원격2

 

 

 2.3. 윈도우 환경

  - 윈도우 서버를 원격하기 위해서는 우선 원격데스크탑 기능을 사용에 체크.

원격 데스크탑 기능 허용

  - 윈도우+r -> mtsc 명령어를 이용하여 원격 데스크탑 연결 실행 -> 연결하고자 하는 IP 입력.

윈도우 환경 원격

'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6. 사용자 및 그룹 관리 (1)  (0) 2022.02.20
5. 파일 및 디렉토리 권한  (0) 2022.02.19
4. Archive & 압축  (0) 2022.02.19
3. 리눅스 기본 명령어  (0) 2022.02.19
1. Workstation Pro를 이용한 실습 환경 구성(1)  (0) 2022.02.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