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Routing
- 패킷에 대한 목적지 IP 주조와 일치하는 경로를 라우팅테이블에서 검색하여 패킷을 인터페이스로 출력
- 경로정보 검색, 최적 경로 선출, 선출된 경로 관리
- 정적 라우팅 : 관리자가 직접 설정하여 경로를 생성,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, default static routing
- 동적 라우팅 :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하여 자동으로 설정되고 관리, RIB, EIGRT, OSPF
(1) IGP : 동일 조직 즉 동일 AS내에서 사용, RIB, EIGRT(시스코 전용), OSPF
(2) EGP : 다른 AS간에 사용
2. RIP
- Distance vector AL 사용 : 속도만 신경씀
- Routing Protocol
- Classful Routing Protocol, RFC1058, UDP520
- 자신이 가진 네트워크를 전송하여 상대가 알도록 함.
2.1. 실습1

- 라우터 설정



- RIP 설정







- show run으로 확인하여 보면 입력한 모든 것을 인식하지 못한다.
(버전 1의 한계)

- 중간 클라이언트로 핑을 치게 되면 도달하지 못한다

- 해결을 위해 3개의 라우터의 rip를 버전 2로 올린다. [120/1]RIP는 120번으로 표현, 라우터 1개만 거침


- 핑을 시도 시 정상적으로 진행

- 스위치 원격을 위해 스위치에 관리용 IP할당

- telnet 접속 설정


2.1.1. ssh 접속 설정
- 로컬 사용자 생성 및 도메인 등록

- 암호키 생성 및 ssh 설정



- pc에서 ssh로 접속

- 스위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적용시키게 되면 위와 동일하게 접속이 가능하다

2.2. 실습 2

- 라우터 rip 설정



- 라우터 ssh 설정



- 스위치 ssh 설정



'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11. Routing : EIGRP 및 서버 기능 활용 (0) | 2022.04.21 |
|---|---|
| 10. Routing : OSPF (0) | 2022.04.20 |
| 8. boot, pass, ios 복구 (0) | 2022.04.19 |
| 7. VTP (0) | 2022.04.19 |
| 6. Spanning Tree Protocol (0) | 2022.04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