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VTP
- Cisco 전용 Protocol
- Trunk로 연결된 Switch 간 VLAN 정보 공유 기능
- 여러대의 스위치가 연결된 VLAN 환경에서 VLAN 데이터베이스 관리가 효율적
- Version 1 : 기본값
Version 2 : Transparent 모드에서 VTP 도메인과 버전이 서로 다른 스위치에게도 VLAN 정보 전달
Version 3 : Extend VLAN정보와 Private VLAN 정보를 공유
MST 관련 설정 내용도 공유되기 때문에 MSTP 설정 시 유용
- VTP Pruning : Trunk Port로 불필요한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이 플러딩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
config# vtp pruning
- delete vlan.dat : vlan 설정 지우는 법
delete flash: -> vlan.data , erase strartup-config
sh flash : 플레시 메모리 확인
- 같은 도메인과 패스워드로 지정함으로써 정보 교환.
1.1. VTP 적용

- 서버의 domain과 패스워드 지정 : 서버는 vlan 생성 제거가 가능


- vtp transparent 설정 : 정보가 가능 경로

- client 설정 : 서버에서 vlan 정보를 받기만함

- 서버에서 vlan 생성

- 클라이언트에서 vlan을 확인하면 서버에서 받아온것을 볼 수 있다.

- transparent의 경우 vlan을 받아오지않고 경로만 지정해준다.

1.2. 실습1
** switch trunkport allowed vlan ( ) : 을 통해 특정 vlan 전송되게 가능

- 스위치 끼리 트렁크로 연결

- 좌측 스위치 vlan 설정

- 모든 스위치에서 vtp 서버 설정과 도메인 설정

- 자동으로 port를 지정해주지않기 때문에 포트는 따로 지정해주어야한다.

- 중간 스위치와 우측 스위치 vlan 정보 확인


'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9. Routing : RIP (0) | 2022.04.20 |
|---|---|
| 8. boot, pass, ios 복구 (0) | 2022.04.19 |
| 6. Spanning Tree Protocol (0) | 2022.04.18 |
| 5. Inter VLAN & L3 스위치 (0) | 2022.04.13 |
| 4. ARP & VLAN (0) | 2022.04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