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STP
- 브리징 루프를 해결하기 위해 IEEE에서 정의한 표준 프로토콜
- 원리는 스위치의 특정 포트를 논리적으로 차단하여 프레임 전송 처리를 못하게 하는 것.
- Switch들간에 BPDU프레임을 멀티캐스트로 교환하여 스위치들간에 물리적인 연결 상태와 내부 토폴로지 변경 사항
및 루프의 위치를 결정하여 최종적으로 Switch Port를 차단
- 동작과정
(1) Root Bridge 선출 : 브릿지 ID가 가장 낮은 스위치 : 브릿지 중에 대장
(2) Root Bridge 모든 포트는 Designated Port가 됨
(3) Root Bridge에서 송신하는 송신하는 BPDU를 가장 작은 Cost 값에서 수신 할 수 있는 포트를 Root Port로 설정
(4) 나머지 Port의 Cost값은 동일하기 때문에 Bridge ID값이 높은 쪽이 대체 포트로 지정되어 차단


- show spanning-tree vlan 1을 통해 확인 가능


- 명령어를 통해 값을 변환하여 Block Port 지정




- 직접 Priority 값을 변환하여 루트브릿지 지정




- 실습


- 실습2 , vlan 별 stp : PVSTP



- 실습 3 : vlan 별 STP 구성
(1) 문제 1


(2) 문제 2


(3) 문제 3


(4) 문제 4


1.1. Bridge ID
- 64bit 체계로 Switch 구분하는 식별자
- priority 16bit ( 기본값 32768 + VLAN 1 ) => 32769
- MAC Address 48bit
1.2. IEEE802.1d STP 포트 상태
- Disable(DIS) : 포트가 도작하지 않는 상태, Shutdown or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.
BFDU Guard, Post-Sercurity에 의해서 포트가 비활성.
프레임과 BPDU 송수신 불가
- Blocking(BLK) : 브리징 루프 방지를 위해 포트가 논리적으로 차단된 상태.
이때 포트는 대체 포트로 선정됨.
프레임 송수신 및 BPUD 송수신 불가, 단 Root Bridge로 전송되는 BPDU 수신가능
- Listening(LIS) : STP 컨버젼스 단계.
Root Port로 선정이 되면 BPDU만 수신.
지정포트가 되면 BPDU송신.
단 프레임 송수신 불가
Listening은 Forward Delay 타이머 15초 발생
- Learning(LRN) : 스위치 포트 상태를 Forward 상태로 이전하는 직전 단계로서 프레임을 송수신하기 위한 MAC주소 학습을 실시.
Forward Delay 타이머 15초 동안 진행.
토폴로지 변화가 없다면 바로 스위치 포트를 Forwarding 단계로 전환
- Forward(FWD) : 프레임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.
일반적으로 루트 포트와 지정포트가 Forwarding 상태로 동작
'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8. boot, pass, ios 복구 (0) | 2022.04.19 |
---|---|
7. VTP (0) | 2022.04.19 |
5. Inter VLAN & L3 스위치 (0) | 2022.04.13 |
4. ARP & VLAN (0) | 2022.04.12 |
3. 패킷 트레이서 실습 (0) | 2022.04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