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실습을 위한 복습. 시스템 구성
- 스위치 구성
2. Inter VLAN
- vlan 끼리 연결하기 위해 사용
- 가상의 인터페이스를 만들어 각각의 vlan을 연결하며, 트렁크 모드가 필수이다.
- 틀린 네트워크를 통신시키려면 라우터가 필요하다.
- vlan 설정방법
>> interface fastethernet0/0 -> no shutdown : f0/0에서는 no shtdown만 진행
interface fastethernet0/0.원하는 숫자 -> encapsulation dot1Q 해당vlan : 해당 encapsulation 방식과 vlan 지정
-> ip address 해당vlan게이트웨이주소 서브넷마스크
-> no shutdown
2.1. 설정
- 하위 인터페이스 생성
상위인터페이스를 생성 후 하위 인터페이스 생성.
- 하위인터페이스에 trunk 타입과 해당 vlan의 게이트웨이 ip입력
- 게이트웨이로 핑할시 성공적으로 핑
- 다른 vlan도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하며, 모든 스위치에 vlan 추가
- 해당 과정을 진행 후 다른 vlan에 핑하게되면 성공적으로 핑이된다.
3. L3 스위치
- L2 스위치에 라우팅 기능을 추가
- L3 스위치에 경우 vlan에다가 게이트웨이값입력
- 과정을 진행하고 각 장치에서 본인의 게이트웨이로 핑을 하게되면 성공
- 스위치 포트이기 때문에 스위치 포트로 사용하지않게 하고 아이피 입력
no switchport 를 이용해서 스위치 포트를 사용하지 않는다.
- 라우팅을 위해 관리자모드에서 ip routing 명령어를 사용
- 라우팅 테이블확인
1.1.1.0/25 는 vlan1로 내보냄 1.1.1.128/26 vlan1
1.1.1.192/30 은 f0/24로 내보냄 1.1.1.192/30 f0/23
- 따라서 라우팅 테이블을 입력한다.
뒷부분은 상대방의 라우터 ip나 자신이 내보낼 포트를 입력
4. 실습 문제
(1) 첫번째 방법 Router port를 이용하는 방법
- 두번째와 세번째 스위치의 경우 트렁크만으로 통신이 가능하기때문에
첫번째 스위치와 두번째 스위치 내에 장비들간의 통신을 위해 라우트포트로 진행
- vlan에 각각에 맞는 게이트웨이를 작성 후 스위치끼리 연결된 포트를 no switchport하여 IP를 입력.
- 그 후 각 네트워크의 라우팅 테이블을 작성해준다.
- 해당과정을 진행하면 두번째 스위치에 장치뿐만 아니라 세번째 장치까지 통신 가능
(2) 두번째 방법 SVI
- 트렁크 모드 + vlan 게이트웨이 주소 입력 + ip routing 을 시도
(3) 라우터를 추가하여 연결
- 각 vlan 생성 및 포트 지정 후에 라우터에서 서브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게이트웨이 입력
** 지나는 경로에 vlan이 존재 해야함
'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7. VTP (0) | 2022.04.19 |
---|---|
6. Spanning Tree Protocol (0) | 2022.04.18 |
4. ARP & VLAN (0) | 2022.04.12 |
3. 패킷 트레이서 실습 (0) | 2022.04.11 |
2. Subnet (0) | 2022.03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