0. 목차
1. 서브넷
2. 문제를 통한 서브넷 예시
1. 서브넷
1.1 IPv4 / IP Address
- IP 만들기
1) 이진수 32개로 구성
2) 8개씩 끊어서 십진수 변환해서 표현
3) 8개씩 끊은 단위를 Octet
4) 1개의 옥탯에 올 수 있는 최소수 255가 최대값
xxxxxxxx.xxxxxxxx.xxxxxxxx.xxxxxxxx
128 64 32 16 8 4 2 1
x x x x x x x x
0 0 0 0 0 0 0 0 --> 0
1 1 1 1 1 1 1 1 --> 255
1.2. IP주소 클래스
- 초창기 시절 하나의 IP주소에서 네트워크 영역과 호스트 영역을 나누는 방법을 의미.
- A Class : 255.0.0.0 -> (0.0.0.0~127.255.255.255) 맨 앞자리까지만 인식
0.0.0.0 전체 네트워크 대표 ( 모든 IP )
사설IP: 10.0.0.0 ~ 10.255.255.255 : 라우팅은 가능하나 인터넷 접근x
- B Class : 255.255.0.0 -> (128.0.0.0~191.255.255.255) 두 번째자리까지만 인식
사설IP: 172.16.0.0 ~ 172.31.255.255
- C Class : 255.255.255.0 -> (192.0.0.0~223.255.255.255) 세 번째자리까지만 인식
사설IP: 192.168.0.0 ~ 192.168.255.255
- D Class : (224.0.0.0~239.255.255.255) 멀티캐스트용
- E Class : (240.0.0.0~255.255.255.255) 연구 목적용
255.255.255.255 브로드캐스트 IP
1.3. 서브넷 마스크
- Classless Inter Domain Routing(CIDR) : 클래스가 없는 도메인간 라우팅 기법, 서브넷 마스크 사용.
- 네트워크영역과 호스트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. 클래스 사용 시 ip 부족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.
- 서브넷 마스크 만들기
1) IP Address와 동일
2) 2진수 1로 시작하고 중간에 0이 나오면 끝까지 0이다.
(예시)
11111111.11111111.11111111.00000000 255.255.255.0
11111111.11111111.00000000.00000000 255.255.0.0
11111111.00000000.00000000.00000000 255.0.0.0
0 128 192 224 240 248 252 254 255
- prefix : 서브넷 마스크를 2진수로 변환하였을 때 1의 개수
- 서브넷 마스크 예시
IP : 10 . 0. 0.0 /24 => (24) = prefix : 서브넷 마스크 의미 ( 2진수 1의 개수 )
SM : 255.255.255.0
-> 서브넷이 0 => 네트워크 수가 1개이므로 0~255 가능
사용가능 IP범위 : 10.0.0.0 ~10.0.0.255
( 아이피의 첫부분을 나타내는 첫부분을 제외하고 서브넷 마스크가 255인 부분은 0만 사용가능. )
10.0.0.0, 10.0.0.255의 사용 : 네트워크ID, 브로드캐스트 주소(Direct Broadcast)로 사용되므로 사용불가
실제 사용가능 IP 범위 : 10.0.0.1~10.0.0.254
- 서브넷과 네트워크 개수의 연관
Subnet | 네트워크 수 |
0 | 1 |
128 | 2 |
192 | 4 |
224 | 8 |
240 | 16 |
248 | 32 |
252 | 64 |
254 | 128 |
255 | 256 |
2. 문제를 통한 서브넷 예시
'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. Spanning Tree Protocol (0) | 2022.04.18 |
---|---|
5. Inter VLAN & L3 스위치 (0) | 2022.04.13 |
4. ARP & VLAN (0) | 2022.04.12 |
3. 패킷 트레이서 실습 (0) | 2022.04.11 |
1. 패킷트레이서 (0) | 2022.03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