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네트워크

4. ARP & VLAN

1. 스위치랑 허브 차이 

1.1. 스위치

  - 스위치는 맥 addr 테이블에서 진행. 

  - 허브와는 달리 주소를 저장하여 통신 시 마다 계속 통신을 할 필요 없다.

    (스위치에서 데이터를 모든 곳에 뿌리는 것을 플리딩 이라고 한다.)

  - 스니핑 불가, 다른 장치와 통신 가능

 

다음과 같이 맥 addr table을 확인 할 수 있다

1.2. 허브

  - 허브는 정보가 없기 때문에 매 통신 마다 ARP를 이용하여 모든 패킷을 전송하여 알맞는 mac 주소를 받는다.

  - CSMA/CD  : 충돌이 발생하면 다른 장치와 통신 불가

  - 스니핑 공격 취약

 

2. ARP

  - 네트워크 상에서 IP 주소를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로 대응 시키기 위한 프로토콜

다음처럼 통신한 ip주소와 mac 주소가 기록된다.

  - 동작원리 

    (1) 송신

       > MAC주소 요청을 위한 ARP Request Packet을 Broadcast로 전송

       > 상대방의 IP는 알고 있으나 MAC 주소를 모르기 때문에 네트워크 전체로 전송

       > ARP에는 수신자가 MAC주소를 응답해줄 송신지의 주소가 포함됨

    (2) 수신

       > 모든 호스트와 라우터가 ARP를 수신

       > 동일한 IP를 갖는 수신자가 MAC주소를 송신자에게 전송

 

  - ping 을 사용하여 통신하고 와이어샤크로 확인하면 통신 과정을 볼 수 있다

다음과 같은 내용이 표시되는 것을 보인다

  - Destitation :ff ff ff ff ff ff     

    Source Address : 00 00 00 00 00 01

    type : 08 06

    Hardware Type : 00 01

    Protocol type : 08 00

    Hardware size : 06

    Protocol size : 04

    OPcode : 00 01

    Sender MAC addr : 00 00 00 00 00 02

    Sender IP addr : 0a 00 00 c9

    Target MAC addr : 00 00 00 00 00 01

    Target IP addr : 0a 00 00 65

최소 46바이트를 맞추기 위해 패딩영역을 추가하여 46바이트로 만듬

- 첫 과정에서는 Source ip를 가지지만 MAC주소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통신을 모두 진행하여 IP에 맞는 MAC주소를 가    진 장치와 통신하여 통신하고자 하는 장치의 MAC주소를 받는다.

 

- mac addr 스푸핑 : ARP를 속이는 신호를 계속 보내 MAC주소를 바꾸어 정보를 가로챈다.

  

 

 

 

3. VLAN : Virtual LAN

  - 보안성 향상

  - 구성하게 되면 Broadcast Domain 분리

  - Collision domain : 허브는 못나누고 라우터와 스위치는 나눈다.

    Broadcast Domain : 스위치랑 허브는 나누지 못한다.

  - 시스코 장비의 경우 모든 포트가 vlan1로 지정되어 있다.

1024개까지는 존재하지만 1000개 이후는 예약되어 사용된다.

 

 

3.1. Vlan 설정

  - Vlan 생성 :

    >> conf ter -> vlan 번호 -> name Vlan이름

명령어 수행 후 show vlan으로 확인가능

 

  - Vlan port 추가

    (1)  하나씩 추가하는 방법

    (2) ,를 이용하여 나열하여 추가하는 방법

    (3) 연속된 포트를 추가하는 방법

  - 10.0.0.1 에서 다른 vlan으로 ping

vlan10과 vlan 20이기에 연결x
vlan 1은 연결가능

 

  - 두번째 스위치에 vlan10을 동일하게 생성하여도 핑 이불가

첫번째 라우터와 같이 vlan 생성, 핑불가

 

  - ISL : 프레임 전체에 식별

    코드부여(암호화): 전송 속도 느려짐

    802.1Q : 이름표 붙임

 

  - 라우터의 10번끼리 연결.  이처럼 연결 시 모든 포트를 연결할 수 없기에 트렁크 포트 사용

vlan 10번이 연결됨

  - trunkmode 사용  

    : 다수의 vlan 포트가 전송될 수 있도록 적용, 포트를 아낀다.

자동으로 다른 스위치에서도 적용된다.
스위치를 따로 연결하지 않아도 ping이되는 모습

    *** 과정 진행 후 write 필수 

 

 

 

3.1. 실습

  (1) 실습 

다음과 같이 구성

 

첫번째 스위치, vlan 설정

 

두번째 스위치, vlan 설정

 

세번째 스위치, vlan 설정

 

  - vlan10번 10.0.0.1 에서 vlan10번 10.0.0.2로 핑하면 되지 않는다.

   >> 이유는 경로하는 스위치에 vlan10번이 정의되어 있지 않아 인식하지 못한다.

        따라서 포트를 주지 않더라도 vlan을 정의 해주어야한다. 

  - 두번째 스위치에 vlan10 정의 후 핑

중간 경로에 vlan10을 설정하면 ping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.

 

 

(2) 실습2.  멀티레이어

위 실습과 동일하지만 트렁크 모드에서 다른 부분을 보인다.
해당 인터페이스의 인캡슐레이션 방식을 미리 지정하여야 트렁크 모드가 사용가능.

 

'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6. Spanning Tree Protocol  (0) 2022.04.18
5. Inter VLAN & L3 스위치  (0) 2022.04.13
3. 패킷 트레이서 실습  (0) 2022.04.11
2. Subnet  (0) 2022.03.07
1. 패킷트레이서  (0) 2022.03.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