0. 목차
1. 패킷트레이서를 이용한 간단한 실습
1.1. 장치 기본 설정
1.2. 라우터 장치 기본 설정
1. 패킷트레이서를 이용한 간단한 실습
- 라우터와 스위치 케이블 엔드디바이스를 생성하는 실습
- 왼쪽 아래 옵션을 통해 라우터를 지정하여 생성.
- 스위치 옵션을 통해 스위치 생성
- 엔드 디바이스 옵션을 통해 일반컴퓨터 2대 서버컴퓨터 2대 생성
- connetion 옵션을 통해 다른 계층의 기기 연결.
다른 계층의 기기는 straight-through 케이블 사용하며 이더넷을 연결.
- cross 케이블을 이용하여 동일 계층의 기기 연결
- serial을 이용한 라우터 연결
1.1. 장치 기본 설정
- 각 장치에 아이피 할당. 기기 더블 클릭 -> ipconfig -> 아이피 입력
1.2. 라우터 장치 기본설정(1)
- 원래는 일반장치를 consol 케이블로 연결하여 terminal로 사용
1.2.1. 라우터 장치 기본설정(2)
- 전원버튼 -> CLI탭 클릭 -> usermode 진입
* 설정 시 저장하지 않으면 재부팅 시 설정이 남아있지 않음.
- Router> : usermode (ping등 약간의 확인만 가능, 일반사용자 모드)
- enable : Router#: Privilege Mode관리자 모드, 특권 모드 (show run 라우터 설정확인, write 저장 등)
* show ip route : 라우팅 테이블 확인하는 명령어 ( 관리자 모드에서 실행 )
- configure terminal : 전역설정모드
1) 전역설정모드에서 라우터 이름을 변경
hostname : 라우터 이름 지정
2) 전역설정모드에서에서 유저모드->관리자모드 (평문) 패스워드 설정. 설정 후 관리자 모드에서 저장.
3) enabe secret 명령어로 유저모드->관리자모드 (암호) 패스워드 설정 ( 전역설정모드 )
4) no ip domain-lookup : 명령어 오입력 시 domain에서 찾는과정 생략. ( 전역설정모드에서 적용 )
ctrl+shift+6 강제종료 가능.
5) service password-encryption : 모든 평문 패스워드를 암호화 ( 전역설정모드에서 적용 )
- 전역설정모드에 진입 후 콘솔포트에서 유저모드에 아무나 진입하지 못하도록 비밀번호 설정.
1) line con 0 : 라인 콘솔모드 진입
2) password 비밀번호 : 유저모드 비밀번호 설정
3) login : 부팅 시 로그인 하도록 설정
4) exec-timeout 0 0 :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로그아웃됨을 방지
5) logging synchronous : 명령어 입력 도중 시스템 메시지가 표시되면 자동으로 줄을 바꾸어 입력중인 명령어를 다 시 표시
6) do write : 관리자모드에서 저장
- line vty 0 4 -> 비번 설정 :: 원격 시 패스워드 지정
- no : 명령어를 취소하는 명령어
- do : 다른 모드에서 관리자모드에서 할 수 있는 명령어 실행
- interface faseEthernet 0/0 : Router(config-if)#: 하위구성모드, 인터페이스 설정모드
- exit : 명령어를 이용하여 전 모드로 이동.
- 라우터 이더넷 인터페이스 (게이트 웨이) 설정. (인터페이스 설정모드)
0) interface fastEthernet 포트 : 해당되는 포트에 인터페이스 설정모드
1) ip address [ip] [서브넷마스크] : ip와 서브넷마스크 설정
2) no shutdown : 인터페이스 활성화 (인터페이스 작업 후에는 필수이다.)
3) write : 설정 저장.
- 라우터 시리얼 인터페이스 설정 : 라우터간의 연결 설정
0) interface serial 포트 : 해당되는 포트에 시리얼 인터페이스 설정모드
1) no shutdown : 인터페이스 활성화
2) bandwidth 대역폭 : 대역폭 지정
3) clock rate 값 : 클럭 동기화 값을 지정 ( DCE 케이블로 연결 시 클락값 설정 )
4) ip address [ip] [서브넷마스크] : ip와 서브넷 마스크 설정
5-1) static routing protocol : 관리자가 수동으로 경로를 설정.
-> IP route 상대방의Gateway NetworkID 상대방의SubnetMask 상대방의routerIP : 다음 네트워크 연결
-> route 상대방의Gateway NetworkID 상대방의SubnetMask 자신이내보내는Serial Number
5-2) defaulting routing protocol : 네트워크에 방향이 하나일 때, 모든 패킷을 보내는 방법.
-> IP route 0.0.0.0 0.0.0.0 상대방의serial Number 또는 내보내는 Serial IP
6) write
'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. Spanning Tree Protocol (0) | 2022.04.18 |
---|---|
5. Inter VLAN & L3 스위치 (0) | 2022.04.13 |
4. ARP & VLAN (0) | 2022.04.12 |
3. 패킷 트레이서 실습 (0) | 2022.04.11 |
2. Subnet (0) | 2022.03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