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125)
Architecting on AWS (1일) 0. 개요 - 온프레미스 : It 자원을 직접 소유 - 퍼블릭 클라우드 : It 자원을 서비스처럼 수행 => CSP : aws => MSP : megazon - 초기 투자 비용 없이 인터넷을 통해 리소스와 애플리케이션을 언제든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고 사용하는 서비스 ( API 의 사용 ) -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점 1) 자본 비용을 가변 비용으로 대체 : IT 자원 준비 x 2) 규모의 경제( 투입 규모를 up => 장기 이익 )로 얻게 되는 이점 3) 용량 추정 불필요 ( 자원 할당의 낭비나 부족을 방지 ) 4) 속도 및 민첩성 개선 5) 중요한 문제에 집중 6) 전 세계로 신속한 배포 - AWS Well-Architected 프레임워크 : 시스템을 잘 구성하였는지 확인하는 툴 ( 질문 답변 후 ..
aws 환경에서 도커를 사용하여 웹서비스 구축 0. 구성 - Dockerfile로 web 컨테이너를 생성하여 RDS와 연결하여 간단한 웹 서비스를 구축 1. 시스템 구성 - 인스턴스 생성 후 도커 설치 - 시스템 시작 및 도커 파일에 사용할 이미지 PULL - 도커 파일 작성 - 데이터베이스로 사용할 RDS 생성 - db client로 진입하여 필요한 db 생성 - scp를 이용하여 php 파일 전송 - 이미지 생성 - 컨테이너 실행 - test : 정상적으로 작동함을 보인다.
1. 쿠버네티스 ( k8s ) 설치 준비 0. 참고 사이트 ( 쿠버네티스 공홈 ) - https://kubernetes.io/ko/docs/tutorials/kubernetes-basics/create-cluster/cluster-interactive/ 1. 쿠버네티스 설치 준비 - 시스템 구성 2. 쿠버네티스 마스터 노드 공통 설치 - 원격지 시간 맞추기 - 방화벽 해제 - swap 기능 해제 - 오버레이 가상 스위치 추가 , 활성화 - iptables 및 NAT 활성화 - 호스트 파일에 각 서버 호스트이름 등록 - 쿠버네티스 레포지토리 등록 - kubeadm, kubelet, kubectl Package 설치 - 서비스 시작 - 다음 명령어를 통해 컨테이너 런타임 설치 2.1. master 노드만 설치 - 칼리코 설치 : 노드끼리 통신할 수..
AWS를 활용한 2tire 구성 0. 구성도 - 구성 아키텍쳐 - 2tire 구축 - Route53 사용하여 도메인 사용 - NAT 게이트웨이트를 통해 내부 인터넷 가능 - 웹 로드밸런싱을 통해 웹 부하 분산 구현 - 오토스케일링을 통해 생성해놓은 템플릿으로 부하 시 인스턴스 생성하여 부하분산 구현 - 다중az 생성하여 장애 시 처리 구현 - 웹 인스턴스를 통해 wordpress 구현 - s3를 통해 정적 페이지 구현 : blog 도메인 사용 - efs를 통해 파일 공유 1. VPC 구성 - 한국 region에 10.0.0.0/16 대역을 가진 VPC 생성 - 해당 대역안에 서브넷생성 - pulic a 에 nat gateway 생성 및 라우팅 테이블 생성 2. 구성 2.1. EC2 - 베스천을 생성 후 WEB 템플릿을 만들 인스턴스 생..
4. GCP ( 오토 스케일링 ) 1. 오토 스케일링 - 인스턴스 자동화로 생성 - 생성한 인스턴스로 이미지 생성 - 인스턴스 템플릿 생성 :: 템플릿 생성 시 자동화 스크립트에 setenforce 추가 - SQL ( DB ) 생성 - 인스턴스 그룹 생성 - 인스턴스 그룹생성 확인 및 인스턴스 확인 - 부하분산 생성 - 방화벽 개방 - 로드밸런스 ip로 접속 - 인스턴스 그룹에 속한 리눅스에 스트레스툴로 부하 부여 - 부하를 중지하면 늘어났던 인스턴스가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.
3. GCP ( DB, 로드밸런싱 ) 1. DB - 인스턴스 생성 - 인스턴스에 wordpress 설치 - GCP 콘솔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추가 - 연결을 통해 호스트 추가 - 페이지 연결 -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자동화 설치 및 구현 2. 부하 분산 ( 로드밸런싱 ) - /var/www/html/index.html 파일 생성 : health 체크용 - 인스턴스 그룹만들기 ( NEW unmanaged instance group ( 부하분산 그룹) ) - 네트워크 -> 부하 분산 -> 부하분산기 만들기 -> httpd 부하 분산 - 생성 후 확인 - 로드밸런스 ip 입력 시 화면 출력 2.2. 인스턴스 템플릿을 통해 웹 인스턴스 2개 통해 부하분산 - 이미지 생성 시 항상 서비스가 켜질 수 있도록 서비스 enable - 이미지 만들기 - 인스턴..
10. AWS ( EFS, ROUTE 53 ) 0. 사전 구성 - web 인스턴스로 가용영역 a에 생성 - 해당 인스턴스에 웹 서비스 설치 1. EFS - efs 서비스를 들어간 뒤 파일 시스템 생성 - efs 파일 시스템 생성 완료 - web 인스턴스에 nfs 설치 or 아마존 efs 툴 설치 - 보안그룹 인바운드 규칙에 nfs 추가 - 파일 시스템의 연결부분을 눌러 명령어를 확인 - nfs 클라이언트로 마운트한 모습 - 아마존 efs 툴로 마운트한 모습 2. Route53 - 호스트 영역 생성 - 레코드 생성 - 호스팅케이알에 도메인에 네임서버를 아마존 네임서버로 등록 - nslookup으로 확인 - 웹 접속 TEST 2.1. ROUTE53 : ftp - 레코드 추가 - 인스턴스에 ftp 설치 및 설정 - 방화벽 열기 - 도메인으로 ftp 접속 ..
2. GCP ( 네트워크, 스토리지, DNS ) 1. 네트워크 - 다른 두 개의 클라우드 서비스와 다르게 vpc안에 region 존재 - vpc끼리는 vpc peering이 필요하지 않다. 1.1. VPC 생성 - 기존에 생성되어있다. - 새로이 생성도 가능하다 : 생성과정 - 방화벽 생성 - 인스턴스 생성 - 공인 주소 할당 2. cli 사용 - 계정 로그인 - 리전 설정 - 존 설정 - 설정 확인 - 설정 확인 후 접속 - cli를 통해 인스턴스 web-2 생성 후 연결 3. filestore ( aws에서는 efs ) - nfs를 통한 파일 저장소 - 인스턴스 만들기 - web 인스턴스를 통해 접속 - 접속하여 파일 생성 - web-2 로 접속하여 마운트하여 파일 확인 : 공인 ip 부여 4. Cloud Storage ( aws s3 ) - 버킷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