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125)
3. Xenserver : pool 1. 라이브 마이그레이션 - 인스턴스가 살아있는 상태로 다른 곳을 이동하는 것 - 구동중인 가상머신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물리 머신으로 이동하는 과정 - 하지만 라이센스가 없다면 불가능. - vmware sphere 와 xenserver 에서 가능 1.1. 마이그레이션 실습 - 실습을 위해 기존에 생성한 10.0.0.51과 10.0.0.52 xenserver를 생성하여 준비. ( nat 카드 이용 ) - 디스크 추가 후 추후 nfs_stor에 mount - iso 라이브러리와 nfs 저장소 생성 - iso 디렉토리에 iso 파일 이동 - xencenter에서 nfs 스토리지 생성 - iso 라이브러리 스토리지 생성 - 스토리지 생성 완료. - vm으로 centos 생성 - ip 변경 - pool 생성..
2. xenserver 실습 0. 구성 실습 - brdge adapter -> xenserver & W2k19-ad - 팀원의 xenserver 를 나의 xencenter에 연결하기 - storage 연결하기 ( 본인것과 짝꿍 ) - 연결 후 w10 설치 - 설치 후 xen tools 설치 1. xenserver 설치 - 네트워크 브리지 어댑터로 설정 - xenserver 설치 2. 윈도우 ad 설정 - W2K19-AD IP 설정 및 nfs로 사용할 스토리지 적용 3. xencenter 3.1. 자신의 xenserver - xencenter에서 자신의 서버 추가 - iso library 설정 - nfs stor 설정 - xen 서버와 저장소 생성 완료 3.2. 팀원의 xenserver 추가 - 팀원이 생성한 xenserver 추가 ..
1. xenserver & nfs 0. Private Cloud - vmware vShphere - ^ - openstack - packstack(puppet) - XenServer - citrix (VDI) - server GUI 형태의 제어프로그램 ( vcenter, xencenter ) 1. xenserver 1.1. xencenter - xencenter 설치 1.1.2. xenserver 설치 - vmware 가상머신 생성 - 디스크 삽입 후 설치 - 쉘 진입 - xscenter 연결 1.2.2. dvd로 vm 생성 1.3. NFS - 윈도우 파일공유 와 nfs로 iso 라이브러리 생성 가능 - 역할 및 기능 추가를 통해 nfs 서버 설치 1.3.1. ISO library - c에 iso 폴더 생성 - iso 폴더에 w10 is..
11. 도커 ( Dockerfile) 1. Dockefile - 리눅스 기본 편집기로 작업할 수 있는 텍스트 형태의 파일 - 각 실행옵션을 찾아 입력 // systemctl status 로 확인 - COMMAND COMMAND Description COMMAND Description FROM 베이스 이미지 지정 ADD 파일추가(외부파일 불러오기) MAINTAINER 작성자 지정 COPY 파일복사 : Local 디렉토리 CMD 데몬실행 ENTRYPOINT 데몬실행 : CMD보다 우선 LABEL 라벨 설정 USER 사용자 설정 EXPOSE 포트 내보내기 WORKDIR 작업 디렉토리 지정 ENV 환경변수 설정 ONBUILD Build 후 실행명령 - 파일의 이름은 dockerfile로 지정한다. ** 해당 명령어를 사용하면 권한이 변경되어 내부에..
NCLOUD ( 도커를 활용한 웹서버 생성 ) 1. NCLOUD 서버 생성 - init script 서비스를 통해 미리 서비스 등록 - 서버 생성 시 작성한 스크립트 선택 - ACG에 8080 포트번호와 22번 포트 번호 등록 - xshell로 접속하여 확인하여 보면 docker 가 설치되어 httpd 컨테이너가 실행되고 있는 것을 확인 - 공인 IP에 할당해놓은 포트를 입력하여 접속하여 test
10. 도커 ( Wordpress ) 1. wordpress - wordpress 이미지 다운 - 설치되어 있는 DB에 정보 입력 **** 새롭게 DB 컨테이너를 생성할 경우 run 구문에서 db설정을 해준다. - wordpress 컨테이너 실행 - test
9. 도커 (link, 데이터베이스) 1. link - 같은 호스트에 있고 실행되어 있는 컨테이너끼리 이름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한다. - link(링크) 명령어 사용 - 일반적으로 링크 없이 생성하게 되면 ip를 사용해야한다. - 링크명령어를 통해 c1과 c2의 이름으로 핑 시도 - 컨테이너 이름 변경 시 호스트명으로 접근이 불가 --> IP 변경 시에는 가능 - /etc/hosts를 확인하면 호스트명이 들어간 것을 확인 - 별칭으로도 생성이 가능하다. - c1 만들고 c2에서 c1 링크 생성 , 그 다음 c1을 멈춘 후 c3를 생성하여 ip를 변경한 뒤 핑을 하는 스크립트 생성 2. 데이터베이스 - 실행할 때 -e옵션을 통해 환경 변수 설정을 통해 pw 입력이 필요. - 클라이언트 접속 방법 - mysql 이미지 pull - mysql 컨..
8. 도커 (6) 이미지 1. 이미지 만들기 1.1. commit ( 컨테이너를 이미지파일로 생성 ) - 컨테이너의 설정과 파일 모두 포함하여 이미지로 생성 - httpd 컨테이너 생성 - index.html 생성 후 컨테이너 내부로 복사 - 이미지로 생성 - 생성한 이미지로 컨테이너 생성 후 확인 1.1.1 이미지 아카이브 : save, load - 도커의 이미지를 아카이브 파일로 생성 - save 명령어로 아카이브 파일을 생성 - load 명령어로 아카이브 파일을 이미지로 가져옴 - alpine과 centos를 image.tar 파일로 생성 - 해당 명령어로 tar로 만든 이미지파일 도커에서 다시 이미지 파일생성 2. 컨테이너 아카이브 : export, import (컨테이너를 이미지로 생성) - 파일은 존재하나 설정은 끌어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