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125)
VMware 포트포워딩을 이용한 팀원간 원격 연결 1. Host pc의 팀원 ip 확인 2. CentOS3대 팀원간 접속 확인 : -> nat 사용 -> Port Fowarding - 윈도우 22번 포트 열기 - 가상머신 nat setting을 통한 포트포워딩 작업 ->> 포워딩 작업 내 아이피 10.0.0.11:65022 10.0.0.11:65122 10.0.0.11:65222 - xshell을 이용해서 팀원의 centos 접속 3. Windows Server2019 3ea RDP 팀원간 접속 Test - 가상머신 nat setting을 통한 포트포워딩 작업 ->> 포워딩 작업 내 아이피 10.0.0.1:65322 10.0.0.1:65422 10.0.0.1:65522 - host pc 방화벽 개방 - 각 가상머신 포트넘버 세팅 - 각 시스템 포트에 맞..
2. 도커 설치 및 기본 사용법(1) 1. 도커 설치 - yum-util 설치 - 도커 리포지토리 추가 - 도커 CE 설치 - 도커 실행 - 스크립트 파일을 생성해서 설치 가능 2.1. 도커 간단한 명령어 확인 - #docker --help 명령어를 통해 커맨드 정보를 알 수 있다. - hello-world 이미지 실행 - 프로세스 확인 및 제거 후 확인 - 도커를 이용하여 httpd 실행 : 가상머신에 비해 가볍다. - 도커 search 명령어로 도커 허브의 이미지 검색 - nginx 이미지 다운 - 다운받은 이미지 확인 - 이미지 삭제 명령어 - CentOS 7 이미지 설치 2.2. 원격 리포지토리 생성 - 원격 리포지토리 생성 - 로컬 리포지토리 설정 : Centos에서 원격 리포지토리에서 올려 사용할 이름 그대로 변경 - 원격 리포지..
1. 도커 기본 이론 1. 도커 - 리눅스 기반 - 컨테이너 기반의 오프소스 가상화 플랫폼 - 다양한 프로그림 및 실행환경을 컨테이너로 추상화하고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프로그램의 배포 관리를 단순화 - 사용 이유 -> 새로운 기술이 아닌 존재하는 기술을 잘 포장함 -> 사용하기 쉽고 사용자들이 원하는 기능을 간단하지만 획기적으로 구현 -> 도커 이미지로 만든 컨테이너는 도커가 설치된 환경이라면 어디든 똑같이 동작 1.1. 컨테이너 : Image를 실행한 상태 * 중요 * - 격리된 공간에서 프로세스가 동작하는 기술 - 가상화 기술의 하나이지만 기존 방식과 차이가 있음. - 기존 방식이 OS 가상화였다면 단순히 프로세스를 격리시키기 때문에 가볍고 빠름. - CPU나 Memory 역시 필요한 만큼 추가로 사용, 성능적으로..
1. 클라우드 이론 1. 클라우드 - 클라우드는 인터넷을 통해 액세스할 수 있는 서버와 이러한 서버에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베이스를 의미 - 온프레미스 환경 : 오프라인, 클라우드와 반대로 로컬로 설치되어있는환경. 사용하려면 설치가 필요 - 관련 용어 -> ISP : ex) kt, lg U+, stk broad -> CSP : Cloud Service Provider , ex) AWS, Azure, GCP, 알리바바, KT UCloud, 네이버 클라우드 Data Center ( IDC ) 필요 -> MSP : Managed Service Provider,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, 마이그레이션, 솔루션 개발 판매 1.1. 정의 및 특징 - 언제 어디서나 어떠한 단말을 이용해서라도 인터넷이 가능하다면 쓴만큼 지불하며 내가..
Untangle을 사용한 온프레미스 환경 구축 (리눅스 서버 & 윈도우 서버) 0. VMWARE 설정 - 네트워크 카드 설정 1. W2K19-AD 설정 - 2.2.2.0 IP 대역 네트워크 카드 설정 및 IP변경 - gomthing.xyz 이름을 가진 도메인 생성 및 도메인 컨트롤러 설정. - 메일에서 사용할 AD계정 추가 2. W2K19-MEM1 설정 - 1.1.10.0 IP대역 네트워크 카드 설정 및 IP변경 - DNS 설정 - AD 서버와 서로의 보조영역 생성 - 멤버서버로 설정 - MAIL 설정 : hmailserver를 이용하여 메일 시스템 사용 3. CentOS7-1 설정 - 1.1.10.0 IP대역 네트워크 카드 설정 및 IP변경 - HAPROXY 설치 - HAPROXY 설정 - 방화벽 개방 - 서비스 시작 4. CentOS7-2 설정 - 2.2.2.0 IP 대역 네트..
32. 데이터베이스 (1) 기초 0. 데이터베이스 - 특정 조직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상호 관련된 데이트들의 모임 - 통합된 데이터 : 자료의 중복을 배제한 데이터의 모임. 저장된 데이터 :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자료. 운영데이터 : 조직의 고유한 업무를 수행하는데 존재 가치가 확실하고 없어서는 안 될 반드시 자료. 공용데이터 : 여러 응용 시스템들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유지하는 자료. 0.1.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- 실시간 접근성 : 수시적이고 비정형적인 질의에 대하여 실시간 처리에 의한 응답이 가능 - 계속적인 변화 :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는 동적. 즉 새로운 데이터의 삽입, 삭제, 갱신으로 항상 최신의 데이트를 유지. - 동시 공용 : 데이터베이스는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진 여러 응용자들을 위한 것이므로 다수..
33. 데이터베이스 (2) PHP 와 MySQL 연동 0. 실습환경 구성 1. MySQL 설치 및 구성 1.1. MYSQL-Server 설치 - 리포지토리 구성 - 호환성 체크 해제 - 커뮤니티와 클라이언트 설치 - 서비스 시작 - 기본 패스워드 확인 - 패스워드 변경 - spl 접속 - 간단한 명령어 확인 - 원격 접속 권한 부여 : 모든 데이터베이스와 테이블에 권한부여 - 설정저장 - 방화벽 개방 1.2. MYSQL-client 설치 및 접속 - 커뮤니티 설치 - 호환성 체크 해제 - 클라이언트 설치 -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접속 2. 데이터베이스 사용 - 컨트롤+L키로 화면 지우기 가능 -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지않아도 데이터베이스이름.테이블이름 으로 테이블 확인 가능 - 데이터베이스 확인 - 데이터베이스 생성 및 확인 - 데이터 베이스 사용 - 테이블 ..
31. Load Balancer 1. Load Balancer - Proxy :인터넷 초창기에 느린 인터넷 속도로 웹사이트 접속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 내부 서버에 웹사이트의 캐시 정 보를 저장 후 내부 사용자들에게 서비스. -> Forward : 서버에서와 클라이언트 사이 존재 -> Reverse : 라운드 로빈 가중치에 따른 방식 2. HAproxy - Reverse Proxy -> Load Balancer 3. HAproxy 구성 - centos 2,3에 httpd 설치 - pc 모두 네트워크 카드를 추가 후 host only로 변경 - 네트워크 설정파일 복사하여 사용 - PING 테스트 - 웹서버 설정 - 방화벽 개방 및 웹서비스 시작 - HAproxy 설치 - HAproxy 설정 - 방화벽개방 - 테스트 - 포트를 60080로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