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 (125) 썸네일형 리스트형 7. 도커 (5) 스크립트를 이용한 설치 및 삭제 1. 스크립트 이용 - 스크립트 파일을 이용해서 도커 설치 및 작업 진행 - docker.sh 스크립파일 생성 - 실행 후 결과 확인 - 파일을 비교하는 명령어 : diff 명령어를 사용하여 확인 2. 스크립트로 설치한 내용을 지우는 스크립트 생성 - dockerdel.sh 파일 생성 - 실행 후 확인 6. 도커 : LoadBalancer 환경 구성 0. 구성 1. 네트워크 4개 생성 및 haproxy 설정 2. 컨테이너 설정 - 컨테이너 생성 ==> 포트 할당의 경우 하지 않아도 무관. - 각 컨테이너의 ip 확인 - 사용할 사진 파일 버킷에 업로드 - 각 설정에 맞는 index.html 생성 - 각 맞는 index 파일을 컨테이너 내부로 복사 *** 해당 명령어를 통해 html파일에 진입하지 않고 해당 문자열을 원하는 문자로 변경할 수 있다. 3. test - host pc에서 확인 - 팀원 pc에서 확인 5. 도커 (4) 볼륨 1. 리눅스 - centos:7 이미지 다운 - centos 실행 - yum 명령어로 net-tools 설치 - ifconfig 명령어로 네트워크 확인 - httpd 를 설치하고 실행 시도 -> 실패: 컨테이너는 하나의 프로세스만 실행가능 - 나올 때는 컨트롤 + p + q , 재진입 시에는 attach 명령어 사용 - 두번째 c2이름을 가진 리눅스 실행 후 정보 확인 - 두 번째 리눅스에 디렉토리 및 파일 생성 - 해당 생성한 파일을 컨테이너 밖으로 이동 - 컨테이너 밖으로 복사한 파일을 첫 번째 리눅스 /test 디렉토리에 이동 1.1. 볼륨 공유 - 도커 컨테이너와 호스트 pc와 디렉토리 공유 - 해당 기능을 사용하여 설정파일을 공유 -> 매번 설정할 필요x - 컨테이너를 생성하면서 공유 - 볼륨 .. 2. IAC 0. IAC - 코드형 인프라(Infrastructure as Code, IaC)는 수동 프로세스가 아닌 코드를 통해 인프라를 관리하고 프로비저닝하는 것을 - Terraform : 배포 관리 ( 설치, Public Cloud 기반 ) - Vagrant : 배포관리 ( Private Cloud ) - Ansible : 구성관리 ( Redhat 기반 ) 0.1. Vagrant 설치 - 사이트를 통해 Vagrant 설치 0.2. VirtualBox 설치 - 사이트를 통해 Vitualbox 설치 및 각종 장치 사용을 위한 extension pack 설치 0.3. Ansible 설치 - 1. Vagrant 2. VirtualBox - 가상머신 생성 - 리눅스 설치 진행 - 진입 후 네트워크 카드 설정에 들어가 o.. 4. 도커(3) 0. 리눅스 기본 ( cat 리디렉션 ) - cat에서 컨트롤+d를 사용하지 않고 저장 - < 리디렉션을 이용해서 파일의 내용을 덮어씌우는 작업 - signal (1) kill : 작업 중이던 것도 무조건 삭제 (2) stop : 정상종료-작업하는 내용은 정상적으로 마무리 (3) pause : 하던 작업도 멈춤 1. nginx - nginx 설치 - nginx 실행 - nginx 확인 - http 서비스와 nginx서비스에서 사용할 각각의 index.html 파일을 생성 - httpd 서비스 실행, 컨테이너 생성 후 시작 - http 설정파일 변경 ** 33. 프로세스 1. Process - App이 실행되어 memory에 load된 상태. - Memory와 HDD의 속도차이는 약 1,000배 정도 - 리눅스에서는 ps명령어를 통해 프로세스 확인 - 프로세스는 foreground 와 background로 실행 가능 >> foreground : 일반적인 실행. 쉘 점유o -> bg %번호 ( 컨트롤+z로 정지 후 시행) >> background : &을 붙여서 실행. 쉘 점유x jobs로 프로세스 번호 확인 -> fg %프로세스번호를 통해 foreground로 전환 ==> background 지우는 법 : 1. 포그라운드로 전환 후 제거 2.프로세스 번호 확인 ( ps -aux ) -> kill -9 프로세스 번호로 제거 ==> 정지하고 시작하는 법 1.1. 프로세스 확.. 3. 도커(2) 0. 기초 사용 - 도커의 이미지는 프로세스로 수행 - 서비스(데몬)을 제공하는 이미지 와 쉘을 제공하는 이미지로 구성 - alpine 이미지와 httpd 이미지 다운 - -d 옵션은 서비스 제공하는 이미지 실행 명령어 - -it 옵션은 쉘을 제공하는 이미지 실행 명령어 - alpine 이미지 실행 및 조작 - 프로세스 확인 및 삭제 - -d 옵션으로 alpine 실행 - foreground : 일반적인 실행. 쉘 점유o -> bg %번호 ( 컨트롤+z로 정지 후 시행) - background : &을 붙여서 실행. 쉘 점유x jobs로 프로세스 번호 확인 -> fg %프로세스번호를 통해 foreground로 전환 ==> background 지우는 법 : 1. 포그라운드로 전환 후 제거 2.프로세스 번호.. VMWARE를 포트포워딩을 이용한 접속 가능한 내부망 서버 구축 0. W2K19-AD 설정 - DNS 설정 : 본인 ip는 사설 ip -> 상대 ip는 실제 ip - 보조dns를 위한 영역전송 설정 - web 설정 1. CentOS7-1 설정 - haproxy 설치 - DNS 설정 - ftp 설정 2. CentOS7-2 설정 - httpd 설치 및 설정 - DNS 설정 - MAIL 설정 1) sendmail 설정 2) dovecot 설정 3. CentOS7-3 설정 - httpd 설치 및 설정 - DNS 설정 - NFS 설정 4. vmware 설정 - 포트포워딩과 방화벽 개방 - 방화벽 개방 - ftp 방화벽 포트가 고정되지 않아 해당 팀원들의 ip에게 포트를 개방 -> 사용자 지정 규칙 -> 모든 프로그램 -> 범위 지정 -> 등록 5. TEST - W10을 이용하.. 이전 1 ··· 3 4 5 6 7 8 9 ··· 16 다음